• 최종편집 2025-10-03(금)
 

아파트.JPG

평택시 용이동 아파트 밀집 지역(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음)

 

평택시 7월 다섯째 주(7월 29일~8월 4일)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825만 원, 3.3㎡당 평균 전세가격은 573만 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3.3㎡당 매매가격은 소사동 2.05%(23만 원↑), 청북읍 0.27%(2만 원↑) 상승했으며, 나머지 읍·면·동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3.3㎡당 전세가격은 소사동 지역만 0.65%(5만 원↑) 상승했으며, 나머지 읍·면·동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매매가격이 상승한 청북읍 소재 아파트 3.3㎡당 매매가격은 ▶평택청북이지더원 863만 원 ▶유승한내들 853만 원 ▶브라운스톤청북 836만 원 ▶평택청북이안 796만 원 ▶유승한내들퍼스트뷰 792만 원 ▶평택청북한양수자인 771만 원 ▶청북풍림아이원 750만 원 ▶사랑으로부영5차 652만 원 ▶부영사랑으로3차 640만 원 ▶사랑으로부영2차 591만 원 ▶사랑으로부영1차 573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세가격이 상승한 소사동 소재 아파트 3.3㎡당 전세가격은 ▶평택효성해링턴플레이스1단지 845만 원 ▶평택효성해링턴플레이스2단지 836만 원 ▶평택소사에스케이뷰 629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아파트 가격은 0.15% 상승했으며, 서울 0.14%, 경기도 0.04%, 인천시 0.05%, 광주시 -0.03%, 대구시 0.30%, 대전시 -0.01%, 부산시 0.05%, 울산시 0.05%, 강원도 -0.16%, 경상남도 0.02%, 경상북도 0.02%, 전라남도 -0.09%, 전라북도 0.00%, 제주도 0.00%, 충청남도 -0.22%, 충청북도 0.06%, 세종시 -0.04%로 집계됐다.


경기도 아파트 가격은 광명시 0.35%, 용인시 0.26%, 안양시 0.19%, 안성시 0.11%, 이천시 0.11%, 평택시 0.10%, 과천시 0.10%, 구리시 0.08%, 성남시 0.08%, 하남시 0.05%, 파주시 0.03%, 군포시 0.02%, 남양주시 0.01%, 시흥시 0.01%, 안산시 0.01% 상승했으며, 가평군 -1.34%, 광주시 -0.41%, 동두천시 -0.38%, 고양시 -0.14%, 김포시 -0.07%, 수원시 -0.02% 하락했다. 부천시, 양주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오산시, 의왕시, 의정부시, 포천시, 화성시는 가격 변동이 없었다.


◆ 평택시 읍·면·동별 3.3㎡당 매매가격 


▶고덕동 1,643만 원 ▶죽백동 1,203만 원 ▶용이동 1,186만 원 ▶소사동 1,146만 원 ▶평택동 1,134만 원 ▶동삭동 1,116만 원 ▶칠원동 982만 원 ▶장안동 981만 원 ▶세교동 916만 원 ▶군문동 876만 원 ▶서정동 843만 원 ▶이충동 841만 원 ▶장당동 801만 원 ▶합정동 793만 원 ▶비전동 791만 원 ▶칠괴동 779만 원 ▶안중읍 743만 원 ▶청북읍 738만 원 ▶가재동 733만 원 ▶통복동 726만 원 ▶지산동 704만 원 ▶독곡동 692만 원 ▶고덕면 635만 원 ▶팽성읍 614만 원 ▶포승읍 582만 원 ▶오성면 500만 원 ▶진위면 460만 원 ▶신장동 388만 원 ▶현덕면 370만 원


◆ 평택시 읍·면·동별 3.3㎡당 전세가격


▶고덕동 838만 원 ▶죽백동 796만 원 ▶용이동 790만 원 ▶평택동 787만 원 ▶소사동 770만 원 ▶동삭동 703만 원 ▶칠원동 681만 원 ▶장안동 671만 원 ▶세교동 649만 원 ▶군문동 644만 원 ▶비전동 612만 원 ▶장당동 610만 원 ▶이충동 607만 원 ▶청북읍 586만 원 ▶안중읍 567만 원 ▶통복동 567만 원 ▶지산동 559만 원 ▶합정동 537만 원 ▶서정동 524만 원 ▶가재동 516만 원 ▶독곡동 511만 원 ▶칠괴동 500만 원 ▶포승읍 494만 원 ▶고덕면 454만 원 ▶팽성읍 448만 원 ▶진위면 322만 원 ▶오성면 314만 원 ▶신장동 296만 원 ▶현덕면 269만 원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택시 7월 다섯째 주 아파트 매매·전세가 “보합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