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10-03(금)
 


김희태 소장.jpg

김희태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장, 『조선왕실의 태실』, 『경기도의 태실』 저자

본지 전문 필진인 김희태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장이 조선왕실의 장태 문화를 상징하는 태실(胎室)에 대해 매주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이번호에서는 태실의 훼손과 현황에 대해 소개한다. 그동안 왕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었던 태실은 현재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복원과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 <편집자 말>


조선시대의 경우 모든 권력의 중심에 왕이 있었다. 그렇기에 절대 권력의 상징으로 왕이 머물렀던 공간은 특별한 위상을 지녔으며, 이는 곧 한양이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했다. 특히, 왕의 생애와 관련된 공간들은 왕실 문화에 있어 정수라고 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탄생(태실) ▶삶(궁궐) ▶죽음과 장지(왕릉) ▶추모와 제례(종묘)를 들 수 있다. 이 네 가지 요소는 단순한 장소를 넘어, 조선 왕실의 정치·문화·정신적 기반을 상징했던 의례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태실은 ‘탄생’을 상징했던 유적으로, 왕조가 존속하는 동안 별도의 수직을 두어 철저하게 관리되었다. 그렇기에 태실에 대한 의도적 훼손이나 실화·방화 등이 있는 경우 그 죄를 엄격하게 물었으며, 관리를 소홀히 한 지방관의 파직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관리는 왕실이 태실을 정통성과 더불어 국운과 연결지어 해석했던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그렇기에 당대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아 전국의 길지에 태를 묻었으며, 관련 석물을 세운 뒤 금표 지역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보호하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태실도 왕조의 멸망과 함께 변곡점을 맞게 된다. 여기에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이 있으나 가장 큰 훼손은 일제강점기 때 있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황실이 왕공족(王公族)으로 격하되었으며, 왕실의 재산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의 능(陵), 원(園), 묘(墓), 태실(胎室)을 조사했는데, 이 기록이 『이왕가분영부속지정리표준』이다. 그 결과 태실의 경우 사초지 밖 10간 이내의 경계는 이왕가의 소유지로 정리되었다. 

 

김희태 태실1.JPG

예천 폐비 윤씨 태실. 지난 2019년 발굴 조사에서 암장한 시신 2구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 태실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매일신보> 기사에는 29곳의 태봉 중 8곳에서 암장한 시신들이 나왔다고 한다. 이는 태실이 풍수적으로 명당으로 여겨져 무단으로 묻은 결과로 보인다. 실제 2019년 예천 폐비 윤씨 태실에서도 2구의 시신이 확인되었다. 그랬기에 일제는 태실 관리의 어려움과 훼손 방지를 명분으로 들며, 전국의 태실을 한 곳으로 모으는 조치를 취했는데, 이는 왕실의 흔적을 지우고 재산을 정리하기 위한 조치라고도 볼 수 있다.


태실을 한 곳으로 모으는 작업은 당시의 출장복명서인 『태봉(胎封)』을 통해 알 수 있다. 당시 이왕직(李王職, 이왕가의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에서는 담당자를 출장 보내 태실의 이봉을 담당하게 했는데, 기록에 따르면 1928년 8월 5일 경성을 출발해 ▶김천(숙명·숙정공주 태실) ▶성주(태종·세조대왕 태실) ▶영천(인종대왕 태실) ▶사천(세종, 단종대왕 태실)을 방문해 태항아리와 태지석을 봉출한 뒤 경성으로 이봉했음이 확인된다. 이후 태실이 있던 토지는 민간에 불하하고, 석물 역시 원하는 민간인에게 불하하거나 방치하는 등 이때 대부분의 태실이 훼손되었다. 그 결과 상당수의 태실이 제 위치를 잃어버린 채 태함이나 태실비 등 일부 석물만 남게 된 것이다. 

 

김희태 태실2.JPG

김천 숙명·숙경공주 태실지. 현재 태실이 있던 자리에는 옮길 당시 파낸 구덩이만 남아 있을 뿐, 태실 관련 흔적을 찾기 어렵다. 

 

김희태 태실3.JPG

성주 태종대왕 태실지. 현재 태실이 있던 자리는 민묘가 들어섰으며, 태실 관련 석물은 성주군에서 수습해 별도 보관하고 있다.

 

김희태 태실4.JPG

영천 인종대왕 태실. 다른 태실과 달리 원위치에 석물이 잘 복원되었다.

 

김희태 태실5.JPG

사천 세종대왕 태실 석물. 태실지는 민묘가 들어서 산 아래 석물을 따로 모아 두었다.

 

김희태 태실6.JPG

사천 傳단종대왕 태실지. 태실지는 사천 지역의 친일파인 최연국의 묘가 들어섰으며, 석물의 일부가 태실지 주변에 밀려난 채 방치되어 있다.

 

한편, 경성(京城, 서울)으로 봉안한 태실은 임시로 별도의 봉안실을 만들어 보관하다가 1930년 4월 15일~17일에 걸쳐 서삼릉으로 옮겨 최종 봉안했다. 이것이 현재의 서삼릉 태실로, 이때 옮겨진 태실은 49기다. 이후 추가로 이구(李玖)와 이진(李晋), 영산군(寧山君), 의혜공주(懿惠公主), 경평군(慶平君)의 태실을 추가로 이봉해 현재와 같은 54기의 태실이 자리하게 되었다. 

 

김희태 태실7.JPG

고양 서삼릉 태실. 1930년 4월 15일부터 17일에 49기의 태실이 봉안되었다.

 

김희태 태실8.JPG

고양 서삼릉 태실비의 후면. 이곳에 있는 태실비의 후면은 공통적으로 연호 부분이 인위적으로 훼손되어 있다. 훼손된 부분은 소화(昭和)로, 일본 쇼와 천황(히로히토) 때의 연호다.


일제는 표면적으로 태실의 훼손과 보호를 명목으로 전국에 흩어져 있던 태실을 서삼릉으로 옮겼지만, 실상은 왕실을 상징하는 태실을 의도적·조직적으로 훼손·말살한 것이다. 무엇보다 길지에 묻는 태실의 조성 방식을 고려한다면 서삼릉 태실의 현재 모습은 근원적인 가치를 파괴한 것에 가깝다고 할 것이다. 


■ 태실의 근원적 가치 회복을 위한 원위치 복원의 필요성


필자가 『조선왕실의 태실』을 집필하기 위해 현장을 답사하면서 마주한 현실은, 태실의 훼손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왕의 태실 가운데 태실지와 석물이 남아 있는 것까지 포함해도 확인 가능한 사례는 24기뿐이다. 하지만 ▶연산군 ▶인조 ▶효종 ▶철종 ▶고종의 태실은 남아 있지 않다.

 

김희태 태실9.jpg

태실지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서 찾은 성주 단종대왕 태실의 연엽주석

 

김희태 태실10.JPG

부여 선조대왕 태실. 태실지 인근에 파괴된 귀롱대석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가운데 연산군 태실의 경우, 광주 목현동 태봉이 태실로 추정되고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 광주목 항목에 기록된 “남쪽 30리 이령(梨嶺)에 봉안된 어태”가 이를 뒷받침한다. 인조의 태실 또한 『인조실록』의 “대전(大殿)과 왕세자의 태장(胎藏)이 모두 정토사(淨土寺) 전봉(前峯)에 있다고 합니다”라는 기록을 근거로 충주 정토사 부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해당 지역은 충주댐 건설로 수몰되어 현재로서는 확인이 어려운 상태다.


효종, 철종, 고종은 왕위 계승이 당초 예정되지 않았기에, 아기씨 태실이 조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즉위 후에도 가봉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는 점에서 태실이 조성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태실의 이봉 과정에서 태실지가 민간에 불하되면서 많은 태실이 원래 위치를 상실하거나 개발로 인해 훼손되었다. 이로 인해 대다수의 태실 석물들은 본래 태실지가 아닌 인근 지역이나 박물관 등으로 옮겨져 보호되고 있어 장소적 의미는 약화되었다. 


오늘날 원위치에 석물이 온전히 보존된 가봉태실은 ▶영천 인종대왕 태실 ▶서산 명종대왕 태실 ▶충주 경종대왕 태실 ▶보은 순조대왕 태실 등 단 4기에 불과하다. 이는 전체 가봉태실 수를 고려했을 때 매우 제한적인 현황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16년 예천 문종대왕 태실과 경모궁 태실이 원위치에 복원되었다는 점이다. 이 같은 복원 사례는 태실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회복하는 데 있어 중요한 선례가 될 것이다.

 

김희태 태실11.JPG

예천 문종대왕 태실

 

김희태 태실12.JPG

예천 경모궁(사도세자) 태실


태실의 원위치 보존이 중요한 이유는 그 상징성과 문화적 배경 때문이다. 태실은 단순한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왕실의 생명 인식과 당대의 철학인 풍수지리가 반영된 소위 ‘명당’이라 부르는 곳에 조성되었다. 따라서 단순히 석물만을 보존하거나 복원하는 방식은 태실의 본질적 가치를 온전히 회복할 수 없으며, 진정한 복원이란 태실 석물과 태실지가 함께 제 위치에서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가능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태실이 향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유네스코가 요구하는 진정성(authenticity)과 완전성(integrity)의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원형 보존이 필수적이다. 예컨대 금산 태조대왕 태실과 창경궁 성종대왕 태실은 석물 자체는 온전하나 원위치를 상실함으로써 근원적 가치의 손상이 발생한 사례다.

 

김희태 태실13.JPG

금산 태조대왕 태실. 석물은 온전하게 남아 있으나 원위치에 복원되지는 못했다.

 

김희태 태실14.JPG

창경궁에 있는 성종대왕 태실. 해당 태실은 본래 경기도 광주시 태전동에 있었으나, 일제가 표본·연구를 목적으로 창경궁으로 옮겼다. 


그렇기에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유를 되새겨볼 때, 왕의 태실은 단순한 석물 복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자리에 복원함으로써 그 근원적 가치를 회복해야 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유적을 보호하는 차원을 넘어 역사적 진정성과 정체성을 온전히 되살릴 수 있으며, 왕실문화로서 태실을 후세에 온전히 물려주는 길이 될 것이다.


※ 참고자료


국립문화재연구소, 『태봉등록』, 2019

한국고전번역원, 『신증동국여지승람』, 양대연(역), 1969

한국고전번역원, 『인조실록』, 박소동(역), 1989

김희태, 『조선왕실의 태실』, 2021, 휴앤스토리 

김희태, 『경기도의 태실』, 2021, 경기문화재단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태가 소개하는 조선왕실의 태실] 태실(胎室)의 훼손과 현황, 가치 회복을 위한 복원 필요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