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10-03(금)
 


김희태 소장.jpg
김희태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장, 『조선왕실의 태실』, 『경기도의 태실』 저자

본지 전문 필진인 김희태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장이 조선왕실의 장태 문화를 상징하는 태실(胎室)에 대해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태실은 아기의 태를 길지에 묻는 풍습으로, 왕실에서는 태를 태주의 생애와 국운과 연결 지을 만큼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신중하게 보관했다. 당대의 철학인 풍수리지와 결합한 태실의 조성은 국책사업에 해당했고, 한양 주변에 분포한 왕릉과 달리 태실은 전국적인 분포 양상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러한 태실은 일제강점기 때 원형이 심각하게 훼손되어 현재 온전하게 남은 태실을 찾기는 손에 꼽을 정도다. 그동안 왕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었던 태실은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복원과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월 2회씩 조선왕실의 태실을 주제로 연재를 시작한다. <편집자 말>


■ 태실이란?


태실(胎室)은 아기의 태를 길지에 묻는 장태 문화다. 과거 우리 조상들은 태(胎)에도 생명력이 있는 것으로 인식했고, 왕실의 경우 나라의 국운과도 연결 지어 해석할 만큼 소중하게 보관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과거부터 이어오던 풍수지리와 무관하지 않은데, 유교가 통치의 근본이었던 조선사회에서 태실의 조성은 명당을 찾아 그곳에 태실 관련 석물(아기씨, 가봉태실)을 설치했으며, 태실을 보호하기 위해 화소(火巢)와 금표(禁標) 공간을 확보해 자연 경관을 보호하고, 잘 어울릴 수 있도록 했다. 

 

김희태 연재1.JPG

▲ 보물로 지정된 영천 인종대왕 태실

 

김희태 연재2.JPG

▲ 창경궁으로 옮겨진 광주 성종대왕 태실, 창경궁에 성종의 태실이 있는 이유는 표면적으로 태실의 보호와 연구 목적이나 사실상 훼손에 가까운 만행에 가깝다.


이 같은 태실의 조성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의 조성과 비교해도 유사함을 알 수 있어 그 가치와 의미가 작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태실의 왕실 문화에 있어 탄생을 의미하는데, 왕릉이 죽음과 장례를 상징하는 공간인 것과 묘한 대비를 이룬다. 다만 차이점이라면 현재 개성에 있는 제릉과 후릉을 제외한 40기의 왕릉이 온전하게 남아 제향이 이루어지고 있는 왕릉과 달리 태실은 일제강점기 당시 방치로 인한 관리의 소홀과 훼손 우려에 따른 처분 기조 속에 전방위적으로 훼손되어 현재 온전하게 남아 있는 태실이 손에 꼽을 정도로 훼손되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김희태 연재3.JPG

▲ 서삼릉 태실의 전경. 오석 재질의 태실 22기와 화강석 재질의 태실 32기 등 총 54기의 태실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훼손의 대표적인 사례가 서삼릉으로 이장된 태실로, 이곳에는 오석 재질의 태실(왕, 왕세자 이구) 22기와 화강석 재질의 태실(왕자, 왕녀, 왕후, 세자) 32기 등 총 54기의 태실이 있다. 해당 태실은 본래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표면적으로 태실의 관리와 훼손을 우려한다며 1928년 전국의 태실 39개소를 옮겨 임시로 경성 수창동 이왕직 봉상시에 설치된 봉안실에 태실을 이봉한 뒤 1930년 4월 15일부터 17일까지 총 49기의 태실을 서삼릉으로 옮겨 매안했다. 이후 이구, 이진, 영산군, 의혜공주, 경평군 태실을 추가로 이봉하며 현재 54기의 태실이 서삼릉에 자리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태실의 이장은 풍수지리를 기반으로 길지에 조성했던 태실의 근본적인 가치를 생각할 때 사실상 의도를 가진 훼손으로 볼 수밖에 없다. 

  

■ 태실의 조성 과정과 태봉산(胎封山, 胎峰山)


이러한 태실의 조성 과정은 크게 아기의 탄생과 이후 태를 수습했던 세태의식, 이후 길일과 길지를 택해 태실을 조성하고, 그곳에 태를 묻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세태의식과 관련해서는 『최숙원방호산청일기(崔淑媛房護産廳日記)』를 통해 알 수 있는데, 우선 아기가 탄생하면 태를 수습한 뒤 길한 방향에 두어 보관했다. 

 

김희태 연재4.jpg

▲ 세태의식을 마친 뒤 태항아리. 아기의 태를 넣어 봉인한 뒤 고리에 붉은색 끈을 묶고, 홍패를 달았다.


이후 3일 뒤에 세태의식이 진행되었는데, 가장 먼저 태를 물로 100번을 씻은 뒤 향온주로 다시 씻었다. 다음으로 준비된 내항아리에 태를 넣어 봉인했으며, 항아리의 고리에 붉은색 끈을 묶은 뒤 홍패를 달았다. 홍패에는 태주의 탄생일과 생모를, 후면에는 담당 내관과 의관의 이름을 적었었다. 여기까지 끝나면 내항아리를 외항아리에 넣고, 바깥쪽에 ‘근봉(謹封)’이라 적은 뒤 길지로 옮겨지기 전까지 길한 방향에 보관했다. 

 

김희태 연재5.JPG

▲ 세종대왕자 태실의 봉출 의식 재현. 안태사는 태를 태실지로 옮겨 안치한 뒤 관련 제례를 주관했다.


세태의식이 끝나면 태실을 어디에 조성할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때 관상감(觀象監)에서 삼망단자(三望單子)를 올리게 되고 왕은 후보지 세 곳 중에서 한 곳을 결정했다. 이렇게 장소와 날짜가 결정되면 선공감(繕工監)의 주도로 태실 공사가 시작되는데, 주로 도로의 수선과 태실 조성에 쓰일 석재 등의 잡물을 준비했다. 또한, 태실지 주변 고을에 필요한 물자와 인력을 할당해 태실 조성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그렇게 태실의 조성이 마무리되고, 길일에 맞추어 보관 중이던 태를 태실지까지 옮기게 되는데, 이때의 관리를 ‘안태사(繕工監)’라 부른다. 안태사는 태실지에 도착한 뒤 태를 안치하고, 관련 제례를 주관했다. 이후 태실비와 금표 등을 세우는 것으로 태실의 조성은 마무리되었다. 

 

김희태 연재6.JPG

▲ 서산 명종 태실의 가봉비 전면. 생전에 태실이 조성되어 ‘주상전하태실(主上殿下胎室)’이 새겨져 있다. 

 

김희태 연재7.JPG

▲ 영월 정조대왕 태실의 가봉비 전면. 정조가 승하한 뒤 세워졌기에 묘호가 새겨져 있다. 재미있는 건 순조 때 세워진 가봉태실비에는 ‘정종(正宗)’의 묘호가 새겨져 있어 최초 정조가 아닌 정종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까지는 왕의 자녀가 태어날 경우 조성되는 일반적인 태실로, 보통 아기씨 태실이라 부른다. 그런데 이러한 태실 가운데 왕위에 오른 태실의 경우 별도의 석물을 추가로 설치하는 ‘가봉(加封)’이라 부른다. 이러한 가봉태실은 왕의 생전 혹은 죽은 뒤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가봉태실비(가봉비)의 명문을 통해 생전에 조성될 경우 ‘주상전하태실(主上殿下胎室)’, 죽은 뒤 세워진 경우 묘호를 쓴 ‘□□대왕태실(□□大王胎室)’이 새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봉태실의 조성은 예조에서 주청을 올려 왕의 재가를 얻은 뒤 공사가 시작되었다. 조성 과정은 위의 아기씨 태실의 조성과 유사한데, 우선 관상감에서 길일을 택해 올리게 되고, 왕의 재가를 얻는다. 이후 추가 석물 조성을 위한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가봉태실은 전면에 가봉태실비가 세워졌고, 태를 묻은 자리에는 난간석을 두른 중앙태석 등 장태 석물이 조성되었는데, 외형은 흡사 왕릉의 축소판과도 같았다. 

 

김희태 연재8.JPG

▲ 홍성군 구항면 태봉리. 태실의 영향으로 파생된 지명으로, 이러한 사례는 전국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태실을 묻은 산을 태봉산(胎封山, 胎峰山)이라 불렀는데, 의외로 이 같은 지명은 전국적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지명이다. 또한, 마을의 이름 역시 태봉산의 영향을 받아 태봉리(胎封里, 胎峯里), 태봉동(胎封洞), 태전동(胎田洞)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태실로 인해 파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 회에서는 ‘시대별 태실 발전 과정과 태실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해 다룹니다.>


※ 참고문헌  김희태, 『조선왕실의 태실』, 2021, 휴앤스토리 

                     김희태, 『경기도의 태실』, 2021, 경기문화재단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태가 소개하는 조선왕실의 태실] 태실(胎室)이란 무엇인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