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라인뉴스
Home >  헤드라인뉴스
실시간 헤드라인뉴스 기사
-
-
김민석 국무총리 취임… “국민 지키는 새벽 총리 되겠다”
-
-
김민석 국무총리가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제공 = 국무조정실>
김민석 국무총리는 7일 “국정 방향의 실현을 챙기고 살피는 국가 종합상황본부장이자 국민의 새벽을 지키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49대 국무총리 취임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취임사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어 준 국민과 일을 맡겨 주신 대통령님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서 “지나온 시간을 돌이켜보면 청춘은 의분이었고 삶은 곡절이었지만 축복이었으며 하늘과 국민이 가장 두렵고 감사하다는 것을 배웠다”며 “학생 시절에 감옥에 갇혀 있던 제게 보내주신 선량하고 가난했던 눈먼 큰아버지의 편지 속 기도가 제 생각을 바꿨으며, 제도의 변화보다 사람의 변화가 근본임을 보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민족과 세계, 이 두 마디에 평생 가슴이 뛰었고, 약자의 눈으로 미래를 보려 해왔으며 선도하고 주도하는 대한민국을 꿈꿔 왔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또 “내란의 상처와 제2의 IMF 위기를 극복하고 위대한 대한민국, 위대한 국민, 위대한 대통령의 시대를 여는 참모장, 국정 방향의 실현을 챙기고 살피는 국가 종합상황본부장, 국민의 새벽을 지키는 새벽 총리가 되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총리는 건설 현장 방문 직후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찾아 정부의 여름철 재난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정부의 재난안전 대응체계를 전면적으로 강화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하고, 상황실 근무자들을 격려함과 동시에 현장 대응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하기 위해 이뤄졌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9
-
-
환경부, 평택호 중점관리저수지로 최종 선정
-
-
중점관리저수지에 최종 선정된 평택호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지난 7일 환경부가 지정하는 중점관리저수지에 평택호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중점관리저수지는 수질개선, 수생태계복원, 수변휴양기능 역할 제고 등 관련 대책 집중추진이 가능한 법적 제도로, 최근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과 수질 악화로 환경 개선이 시급했던 평택호가 국가 차원에서 체계적인 집중 관리를 받음으로써 수질개선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평택호는 1973년 준공된 총저수량 약 1억 톤 규모의 대형 저수지로, 농업용수 공급과 홍수 조절, 생태 보존 등 다양한 역할을 해 왔다.
황구지천, 오산천, 진위천, 안성천 등 총 51개 국가·지방하천에서 유입된 물이 모이는 평택호는 2도 10개 시 약 400만 명의 유역에 중요한 수자원 공급처로, 최근 급격한 개발로 인해 평택호 수질은 농업용수 4등급을 겨우 유지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녹조와 악취 문제가 심해져 지역 주민들의 생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4개의 K-반도체 벨트 조성 등 대규모 산업단지 개발로 인해 다량의 폐수 유입이 예상돼 수질 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진 시점에서 평택호 중점관리저수지 지정은 지역민의 불안과 불신을 해소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평택시는 지난해 2월 물환경보전법 규정에 따른 중점관리저수지 지정을 환경부에 건의했고 1년 6개월에 걸친 오랜 설득과 기술적인 검토 끝에 최종 선정됐다. 전국에서 국가지원을 받는 중점관리저수지 중에 대규모 저수지의 첫 사례이다.
평택시는 2030년까지 농업용수형 4등급에서 수변휴양형 3등급으로 수질 개선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내년까지 생태하천복원사업, 수질정화습지, 총인 처리시설 설치 사업,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설치 사업 등 다양한 대책을 수립해 환경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장선 시장은 “환경부가 평택호를 최종 중점관리저수지로 선정한 것은 지역사회와 환경을 위한 중요한 국가적 결단”이라며 “환경부, 경기도, 충청남도, 한국농어촌공사와 유역 지자체가 협력해 평택호를 맑고 깨끗한 청정호수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 주민과 소통을 강화하고 평택호 관광단지 개발과 연계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환경보전을 동시에 실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8
-
-
홍기원 국회의원,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법’ 대표발의
-
-
경계선지능인 자립 지원을 위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법’ 제정안이 추진된다.
더불어민주당 홍기원 국회의원(평택갑)은 7일, 경계선지능인의 생애주기별 평생교육 시행의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지원법’ 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경계선지능인은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가 71~84에 해당하며, 인지·정서·사회적응 능력이 비교적 낮은 사람으로, 전체 인구의 약 14%가 경계선지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현행법상 지적장애 기준에는 부합하지 않아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들은 생애 전반에 걸쳐 학업, 취업, 사회생활에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보건복지부에서는 작년에서야 첫 실태조사에 착수하는 등 아직까지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실정이다. 특히 ‘경계선지능’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해 교육과정에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성인이 된 이후에야 진단을 받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조례를 통해 지원하고 있지만, 지역별 편차가 커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이에 제정안은 경계선지능인이 학업, 취업 등 사회적응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생애주기에 맞춘 평생교육을 통해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지원 체계를 구축하도록 했다.
우선, 교육부장관으로 하여금 5년마다 평생교육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했으며, 중앙경계선지능인평생교육지원센터를 설치해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을 위한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개발 ▶평생교육 종사자 대상 경계선지능인 이해 제고를 위한 교육과 연수 ▶가족 및 관련 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지침 마련 등 평생교육 시행을 위한 제반 사항을 지원하도록 규정했다.
동시에 각 시·도에는 지역지원센터를 설치해 ▶평생교육 관련 정보 제공 및 상담 ▶개인별 평생교육 지원 계획 수립 ▶직업 훈련지원 ▶조기 발견과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당사자 및 자조모임 지원 등 현장 중심의 촘촘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했다.
홍기원 의원은 “경계선지능인은 체계적인 교육이 뒷받침되면 실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사각지대로 인해 당사자와 가족 모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며 “법안 마련 과정에서 당사자와 전문가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평생학습을 통한 지속적인 지원으로 경계선지능인이 자립 가능한 사회적 환경이 마련된다면, 당사자뿐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법이 통과되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홍 의원은 지난 2월 21일 ‘경계선지능인 정책 제안 및 지원 간담회’를 개최해 전국느린학습자부모연대, 국제대학교 평생교육원, 느린학습자시민회 등 관계 단체와 단순 복지를 넘어선 교육 중심의 경계선지능인 자립 지원책에 대한 논의를 이어온 바 있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8
-
-
이병진 국회의원, 농어촌 민생 지원 위한 법률안 2건 대표 발의
-
-
더불어민주당 이병진(평택을) 국회의원은 지난 6월 25일(금) 농업·해양수산 분야에 대한 조세특례의 일몰 기한을 2028년 12월 31일까지 3년 연장하는 ‘조세특례제한법 일부개정법률안’ 2건을 대표 발의했다.
최근 농촌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농업 수익성 저하라는 구조적 위기 속에서 고물가·고금리까지 겹치며 농가의 경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수산업과 해운업계 또한 높은 연료비와 도서지역 물류 불안정 등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어, 농어민에 대한 연속적인 조세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번 개정안은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해 농어촌의 기반 유지를 지원하고 해운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2025년 12월 31일로 일몰되는 농업 및 해양수산 분야 조세특례의 적용 시한을 3년 연장하는 내용을 담았다.
주요 내용으로는 ▶영농자녀 증여세 감면 ▶농어가목돈마련저축 비과세 ▶조합 출자금·예탁금 이자 및 배당소득 비과세 등 농업 관련 조세특례 ▶어업용 기자재 부가가치세 영세율 ▶도서지역 면세유 지원 등 수산 및 해운 분야에 대한 조세지원 제도가 포함돼 있다.
이병진 의원은 “지방 및 인구 소멸이라는 위기 앞에 민생 안정을 위해 세제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이번 연장 법안이 농업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어민과 해운업계의 경영 안정을 지원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농어촌 보호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앞으로 국회에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8
-
-
평택시의회, 제256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폐회
-
-
시의회 제256회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전경
평택시의회(의장 강정구)는 4일, 시의회 2층 본회의장에서 제1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를 끝으로 6월 18일부터 17일간 진행된 제256회 제1차 정례회 의사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날 제2차 본회의에서는 ▶2024년도 행정사무감사 결과 보고서 채택의 건 ▶2024 회계연도 예비비 지출 승인의 건 ▶2024 회계연도 결산 승인의 건 ▶의안 발의 조례안 12건 ▶집행부 제출 조례안 15건을 보고하여 총 27건(원안가결 15, 수정가결 9, 의견제시 1)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위원장 김혜영)에서는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2일간 각 상임위원회의 예비 심사를 거쳐 2024 회계연도 결산 승인의 건에 대해 원안대로 의결하였다. 2024 회계연도 일반회계 및 특별회계 총규모는 예산현액이 2조9,893억863만 원이며, 세입 결산액은 3조348억5,506만 원, 세출 결산액은 2조5,083억5,647만 원, 결산상 잉여금은 5,264억9,859만 원이다.
강정구 의장은 “17일간 진행된 정례회 회기 동안 조례안과 행정사무감사, 결산 승인의 건 심사 등 안건심사에 심혈을 기울여 주신 동료 의원 여러분과 집행부 공직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이번 행정사무감사 기간에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지방자치를 모범적으로 보여주신 평택시 의정 모니터링단 여러분께도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8
-
-
김현정 국회의원, 공정거래법 개정 국회토론회 개최
-
-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국회의원(정무위원회·평택시병)은 7월 8일(월), 민주노총과 국회 정무위·환노위 소속 의원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회에서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침해하는 공정거래법 개정방안 국회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김 의원을 포함해 신장식 의원(조국혁신당), 한창민 의원(사회민주당)이 공동 대표발의하고, 총 32명의 국회의원이 공동발의로 참여한 공정거래법 개정안의 사회적·법적 타당성을 점검하고 실효적인 입법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당 개정안은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및 산재보험법상 ‘노무제공자’를 공정거래법상 ‘사업자’ 범위에서 명확히 제외하고, 이들이 소속된 노동조합을 ‘사업자단체’로 보지 않는다는 내용을 명문화함으로써, 공정위의 자의적 법 적용을 방지하고 노동 3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토론회는 채준호 전북대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정영훈 교수(부경대 법학과)와 조현주 변호사(노동자권리연구소)가 발제를 맡았다.
이어 김린 교수(인하대 로스쿨), 신하나 변호사(민변 노동위원장), 전다운 변호사(법무법인 지향) 등 법조 전문가들과 함께, 이준헌 과장(공정위), 서명석 과장(고용노동부) 등 관계 부처 인사도 토론에 참여해 입법·행정의 관점에서 논의를 가졌다.
현장 발제자로는 오종국 울산건설기계지부장과 강동헌 화물연대 법규국장이 나서, 공정위의 부당 조사, 노동조건 후퇴, 과징금 부과 사례 등을 증언하며 토론회의 현실성과 긴급성을 더했다.
김현정 의원은 “공정거래법이 재벌 감시법이 아니라 노동권 탄압 수단으로 전락했다”며 “노조를 담합집단으로 보는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공정위가 노조를 담합으로 보는 한, 특수고용노동자의 노동권은 보장받기 어렵다”며 “이번 토론회가 이재명 대통령이 약속한 ‘노동이 당당한 나라’를 위한 입법의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8
-
-
강정구 평택시의회 의장, 홍의선 송탄소방서장 접견
-
-
강정구(왼쪽) 의장과 홍의선 송탄소방서장
평택시의회 강정구 의장은 2일, 시의회 의장실에서 홍의선 송탄소방서장을 접견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강정구 의장은 홍의선 송탄소방서장을 만난 자리에서 평택시의회와 송탄소방서가 협력해 나아갈 방향과 여름철 재난사고 예방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강정구 의장은 “평택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헌신과 열정을 다해 주시는 노고와 헌신에 감사드린다”며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 활동으로 시민의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다가오는 여름철 폭우에 대비한 선제적인 대응으로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덧붙였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8
-
-
평택시 7월 첫째 주 아파트 매매·전세가 “소폭 하락”
-
-
평택시 용이동 아파트 밀집 지역(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평택시 7월 첫째 주(7월 1일~7일)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828만 원, 3.3㎡당 평균 전세가격은 573만 원으로 집계되면서 전주(6월 24일~30일)보다 소폭 하락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3.3㎡당 매매가격은 세교동 -1.29%(12만 원↓), 지산동 -0.84%(6만 원↓), 장당동 -0.74%(6만 원↓), 죽백동 -0.66%(8만 원↓), 고덕동 -0.61%(10만 원↓), 안중읍 -0.54%(4만 원↓), 용이동 -0.42%(5만 원↓), 동삭동 -0.27%(3만 원↓), 이충동 -0.24%(2만 원↓), 합정동 -0.23%(2만 원↓), 장안동 -0.20%(2만 원↓), 고덕면 -0.16%(1만 원↓), 청북읍 -0.14%(1만 원↓), 비전동 -0.13%(1만 원↓), 서정동 -0.12%(1만 원↓) 하락했으며, 나머지 읍·면·동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3.3㎡당 전세가격은 장당동 0.16%(1만 원↑) 상승했으며, 세교동 -0.61%(4만 원↓), 합정동 -0.56%(3만 원↓), 이충동 -0.49%(3만 원↓), 청북읍 -0.34%(2만 원↓), 용이동 -0.25%(2만 원↓), 죽백동 -0.25%(2만 원↓), 안중읍 -0.18%(1만 원↓), 지산동 -0.18%(1만 원↓), 고덕동 -0.12%(1만 원↓) 하락했다. 나머지 읍·면·동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매매가격이 하락한 지산동 소재 아파트 3.3㎡당 매매가격은 ▶KCC스위첸 926만 원 ▶삼익 830만 원 ▶지산코아루 823만 원 ▶쌍용 789만 원 ▶이한렉스빌플러스(도시형) 746만 원 ▶우성 746만 원 ▶미주1차 695만 원 ▶제일 688만 원 ▶미주2차 667만 원 ▶한양청솔 660만 원 ▶장미 652만 원 ▶건영 626만 원 ▶현대 571만 원 ▶아주1차 534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세가격이 하락한 세교동 소재 아파트 3.3㎡당 전세가격은 ▶힐스테이트평택3차 789만 원 ▶힐스테이트평택 760만 원 ▶태영청솔 674만 원 ▶개나리 668만 원 ▶힐스테이트평택2차 625만 원 ▶우성꿈그린 622만 원 ▶보성청실 613만 원 ▶부영 602만 원 ▶현대 601만 원 ▶부영원앙2차 574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아파트 가격은 0.25% 상승했으며, 서울 0.49%, 경기도 0.05%, 인천시 -0.04%, 광주시 -0.01%, 대구시 0.09%, 대전시 -0.02%, 부산시 -0.04%, 울산시 0.00%, 강원도 0.13%, 경상남도 -0.10%, 경상북도 -0.10%, 전라남도 0.04%, 전라북도 0.02%, 제주도 0.00%, 충청남도 0.05%, 충청북도 -0.07%, 세종시 0.18%로 집계됐다.
경기도 아파트 가격은 과천시 2.63%, 의왕시 0.33%, 하남시 0.30%, 성남시 0.18%, 광명시 0.14%, 여주시 0.13%, 안양시 0.10%, 화성시 0.05%, 안산시 0.03%, 수원시 0.02%, 시흥시 0.02%, 광주시 0.01% 상승했으며, 이천시 -0.35%, 양주시 -0.29%, 평택시 -0.27%, 파주시 -0.16%, 용인시 -0.10%, 오산시 -0.09%, 김포시 -0.09%, 포천시 -0.08%, 양평군 -0.06%, 의정부시 -0.04%, 고양시 -0.01% 하락했다. 가평군, 구리시, 군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안성시, 연천군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 평택시 읍·면·동별 3.3㎡당 매매가격
▶고덕동 1,638만 원 ▶죽백동 1,205만 원 ▶용이동 1,187만 원 ▶소사동 1,146만 원 ▶평택동 1,134만 원 ▶동삭동 1,119만 원 ▶장안동 989만 원 ▶칠원동 982만 원 ▶세교동 920만 원 ▶군문동 876만 원 ▶합정동 871만 원 ▶서정동 847만 원 ▶이충동 843만 원 ▶장당동 801만 원 ▶비전동 791만 원 ▶칠괴동 779만 원 ▶안중읍 743만 원 ▶청북읍 733만 원 ▶가재동 733만 원 ▶통복동 726만 원 ▶지산동 711만 원 ▶독곡동 693만 원 ▶고덕면 636만 원 ▶팽성읍 614만 원 ▶포승읍 582만 원 ▶오성면 500만 원 ▶진위면 460만 원 ▶신장동 388만 원 ▶현덕면 370만 원
◆ 평택시 읍·면·동별 3.3㎡당 전세가격
▶고덕동 835만 원 ▶죽백동 796만 원 ▶용이동 790만 원 ▶평택동 787만 원 ▶소사동 771만 원 ▶동삭동 704만 원 ▶칠원동 681만 원 ▶장안동 673만 원 ▶세교동 653만 원 ▶군문동 644만 원 ▶비전동 613만 원 ▶이충동 611만 원 ▶장당동 611만 원 ▶청북읍 584만 원 ▶안중읍 567만 원 ▶통복동 567만 원 ▶지산동 559만 원 ▶합정동 537만 원 ▶서정동 524만 원 ▶가재동 516만 원 ▶독곡동 511만 원 ▶칠괴동 500만 원 ▶포승읍 494만 원 ▶고덕면 454만 원 ▶팽성읍 448만 원 ▶진위면 322만 원 ▶오성면 314만 원 ▶신장동 296만 원 ▶현덕면 269만 원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8
-
-
[김희태가 소개하는 조선왕실의 태실] 사찰이 태실(胎室)을 수호했던 이유는?
-
-
본지 전문 필진인 김희태 이야기가 있는 역사문화연구소장이 조선왕실의 장태 문화를 상징하는 태실(胎室)에 대해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그동안 왕릉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었던 태실은 보존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 복원과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호부터 매주 연재한다. <편집자 말>
태실이 조성되면 이를 관리하고 수호하기 위한 일련의 행위도 함께 이루어졌다. 그런데 태실을 수호하는데 있어 사찰의 역할이 적지 않아 눈길을 끈다. 이때 사찰이 담당한 기능은 단순한 종교적 차원을 넘어 왕실의 생명관과 의례 체계에 깊이 관여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찰의 역할은 태실에 국한되지 않았으며, 능원을 수호하기 위해 설치된 능침사(陵寢寺)나 왕실의 제향에 필요한 제수(祭需)를 조달한 조포사(造泡寺) 등에서도 확인된다.
남양주 봉선사(奉先寺). 광릉의 원찰인 봉선사에는 하마비와 봉선사 동종 등이 있다.
또한, 죽은 이의 명복을 빌기 위해 사찰을 건립하거나 지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원찰(願刹, 원당)’이라고 한다. 조선왕릉 가운데 광릉(光陵,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원찰로 지정된 남양주 봉선사(奉先寺)는 대표적인 예로, 왕실의 사후 안녕을 기원하는 불교적 의례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원찰은 조선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삼국시대에도 그 전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신라 성덕왕(聖德王) 대에 창건된 봉덕사(奉德寺)는 태종대왕(太宗武烈王, 재위 654~661)의 명복을 빌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사찰로, 『삼국유사』 성덕왕조에 그 창건 배경이 기록되어 있다.
성덕대왕신종. 성덕왕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경덕왕 때부터 주조를 시작해 혜공왕 때 완성된 성덕대왕신종이 최초 봉덕사에 있었다. 봉덕사는 태종무열왕의 명복을 빌기 위한 원찰이었다.
부여 왕흥사지(王興寺址). 백제 위덕왕이 죽은 왕자를 위해 건립한 원찰이다.
백제의 경우, 부여 왕흥사지(王興寺址)에서 출토된 사리기의 명문을 통해 577년(정유년, 위덕왕 24)에 위덕왕(威德王, 재위 554~598)이 죽은 왕자의 명복을 기원하기 위해 창건한 원찰로 확인되었다. 이는 불교가 왕실의 사후 복덕을 기원하는 제도적 장치로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백제 왕릉급 고분인 부여 능산리 고분군 인근에서 확인된 능산리사지(陵山里寺址)의 경우, 출토된 석조사리감의 명문에 근거하여 성왕(聖王, 재위 523~554)의 원찰로 추정된다.
대구 파계사 원당봉산 표석
한편, 왕실과 관련된 사찰에서는 공통적으로 하마비(下馬碑)가 확인되는데, 이는 궁궐·종묘·성균관·향교·서원·유허지 등 왕실과 유교적 성격의 건축물 등에 주로 세워졌던 점을 고려할 때, 해당 사찰이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대구 파계사(把溪寺)를 들 수 있다. 파계사에서는 원통전에 봉안된 관음보살상의 복장에서 영조의 어의(御衣)가 출토된 바 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하마비와 함께 ‘원당봉산(願堂封山, 대구시 동구 중대동 산1) 표석’ 등이 세워졌다.
보은 법주사 봉교비(奉敎碑)
또한, 보은 법주사(法住寺)의 경우 영빈 이씨의 선희궁 원당(宣喜宮 願堂)과 순조대왕 태실이 있어 왕실의 원당사찰이자 태실수호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법주사에는 일반 사찰에서는 보기 어려운 봉교비(奉敎碑)가 세워져 있어 주목된다. 해당 비석에는 ‘봉교 금유객제잡역 함풍원년삼월일입 비변사(奉敎 禁遊客除雜役 咸豊元年三月日立 備邊司)’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해 1851년(철종 2) 3월에 비변사의 주도로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법주사 일대에서의 노는 행위를 금지하고, 승려들에게 부과되던 잡역을 면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태봉등록』을 보면 왕과 왕비 태실의 경우 별도의 수직(守職)을 두어 태실을 수호하게 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체계적인 관리는 쉽지 않았는데, 이유는 도성에서 가까이에 있는 능원과 달리 태실은 주로 산의 정상이나 깊은 산속에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입지적인 조건은 사찰이 태실을 수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 최적의 조건이 되었던 셈이다. 그렇기에 조정에서는 태실 주변의 사찰을 태실수호사찰로 지정하고 태실의 관리를 맡겼으며, 완문이나 교지를 내려 승려의 잡역을 면하게 하는 등의 조치를 내렸다.
■ 조선왕실의 태실과 태실수호사찰
이러한 태실수호사찰의 주요 사례로 ▶김천 직지사(直指寺)=정종대왕 태실 ▶예천 명봉사(鳴鳳寺)=문종대왕 태실, 사도세자 태실 ▶영천 은해사(銀海寺)=인종대왕 태실 ▶부여 오덕사(五德寺)=선조대왕 태실 ▶보은 법주사(法住寺)=순조대왕 태실 ▶예천 용문사(龍門寺)=폐비 윤씨, 문효세자 태실 ▶성주 선석사(禪石寺)=성주세종대왕자 태실 등이 있다. 물론 이외에도 기록이나 태봉도, 현장 등을 종합해 보면 태실수호사찰로 추정되는 사찰이 적지 않으나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폐사된 상태다.
김천 직지사(直指寺). 대웅전 뒷봉우리에 정종대왕 태실이 있었다.
하나씩 살펴보면 김천 정종대왕 태실의 경우 직지사(直指寺) 대웅전 뒷봉우리에 태실이 조성되었는데, 『세종실록』 「지지리」에는 황악산에 어태를 안치했음을 적고 있으며, 『정조실록』에는 금산(金山)의 직지사(直持寺) 뒤에 있다고 적고 있다. 또한, 『일성록』에는 직지사 승통(僧統)의 첩보(牒報) 내용이 나오는데, “본사(本寺)는 정종 공정대왕(定宗恭靖大王)의 태실(胎室)을 봉안하고 수호하는 사찰입니다.”라고 언급하고 있어 직지사가 정종대왕 태실의 수호사찰인 것을 알 수 있다.
예천 명봉사(鳴鳳寺). 문종대왕과 사도세자 태실의 수호사찰이다.
예천 명봉사(鳴鳳寺)에는 문종대왕 태실과 경모궁 태실(사도세자 태실)이 있는데, 명봉사와 두 태실의 관계는 『장조태봉도』에 잘 묘사되어 있다. 『정조실록』을 보면 문종의 태실이 풍기(豐基)의 명봉사(鳴鳳寺) 뒤에 있다고 적고 있으며, 『일성록』에는 순조 때 승려 장신(奬信) 등이 올린 상언에서도 “본사(本寺)는 바로 문종대왕(文宗大王)과 경모궁(景慕宮)의 태실(胎室)을 수호하는 사찰입니다.”라고 언급하고 있어 명봉사가 두 태실의 수호사찰인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경모궁 태실(사도세자 태실)의 경우 세자의 태실로는 유일하게 가봉이 이루어진 사례로, 이와 관련한 주목해볼 금석문이 ‘명봉리 경모궁 태실 감역 각석문’이다.
영천 은해사(銀海寺). 인종대왕 태실의 수호사찰이다.
인종대왕 태실은 태실봉의 정상에 있는데, 『정조실록』에는 영천(永川)의 공산(公山, 팔공산)에 있다고 적고 있다. 인종 태실의 수호사찰은 은해사(銀海寺)로, 이를 보여주는 흔적이 은해사에 남아 있는 하마비와 영천군수 이인원(李寅元, 1782~1849)의 불망비다. 해당 불망비에는 은해사가 인종의 태실수호사찰임을 밝히고 있다. 다만, 백흥암(百興庵) 진영각에 있는 ‘순영제음(巡營題音)’ 현판과 여기에 기록된 완문을 통해 은해사의 부속 암자인 백흥암이 실제 관리를 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부여 오덕사(五德寺). 선조대왕 태실의 수호사찰이다.
선조대왕 태실의 수호사찰은 오덕사(五德寺)로, 『승정원일기』를 보면 1727년(영조 3) 1월 27일에 함릉군(咸陵君) 이극(李極)이 상소를 올렸다. 상소의 주요 내용은 오덕사가 복성군(福城君)의 원당이자 선조의 태실을 수호하는 재궁(齋宮)인 사실과 당시 오덕사가 쇠락하여 태봉을 수호하기 어렵기에 오덕사를 예조에 포함, 승려들로 하여금 수호를 책임지게 하도록 요청하는 내용이다. 현재 오덕사에는 선조의 태봉에서 옮겨진 가봉태실비가 경내로 옮겨져 있으며, 선조의 어필을 봉안한 어필각이 남아 있다.
보은 법주사(法住寺). 순조대왕 태실의 수호사찰이다.
순조대왕의 태실 수호사찰은 법주사(法住寺)로, 이는 1851년(철종 2) 예조에서 발급된 ‘보은군속리산법주사판하완문절목’을 통해 확인된다. 또한, 『순조태봉도』를 보면 순조의 태봉을 중심으로 수호사찰인 법주사가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앞서 소개한 봉교비도 법주사가 왕실의 원당사찰이자 태실수호사찰이기 때문에 건립된 것이다.
예천 용문사(龍門寺). 대장전(大藏殿) 뒤로 보이는 봉우리에 문효세자 태실이 있다.
예천 용문사(龍門寺)는 문효세자 태실의 수호사찰로, 『일성록』을 보면 서호수(徐浩修)가 올린 장계를 통해 문효세자의 태실을 봉안한 뒤 수호하는 역할을 용문사의 승려들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용문사에는 폐비 윤씨의 태실이 있어, 위치상 용문사가 태실수호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성주 선석사(禪石寺). 사찰 이름의 유래가 된 바위와 뒤로 보이는 대웅전
마지막으로 성주 선석사(禪石寺)는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의 수호사찰로, 『일성록』을 보면 1788년(정조 12) 8월 18일에 성주(星州) 사람 송오석(宋五錫)의 말을 인용해 “…선석사(禪石寺)에 태실(胎室)을 창건할 때 수호(守護)할 목적으로 60결을 급복(給復)하고 크고 작은 지역(紙役) 등의 잡역을 영구히 탈급(頉給)해 주어 폐단 없이 거행해 왔다.”라고 적고 있어 선석사가 태실수호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조선왕실의 태실을 수호한 사찰의 존재는 불교, 유교, 풍수지리 등 상이한 사상들이 조선 사회 내에서 상호작용하며 공존한 문화적 양상을 반영한다. 특히, 태실은 왕실의 생명관과 불교적 신앙이 결합된 상징적인 공간으로, 조선의 종교·사상적 복합성을 드러내고 있다. 숭유억불 기조에도 불구하고, 사찰이 왕실과 관련된 의례적 기능을 수행하며 존속할 수 있었던 사실은 조선 사회의 종교적 관용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태봉등록, 2019
, 승정원일기, (), 2013
, 일성록, (), | 2003
, 일성록, (), 2005
, 일성록, (), 2016
, 일성록, (), 2022
, 한국의 금표, 2023, 김희태『』휴앤스토리
, 경기도의 태실, 2021, 『태봉태실의 세계유산 가치성 연구자료집
-
2025-07-07
-
-
[김만제의 평택의 자연] 나무 개구리가 된 맹꽁이
-
-
나무를 오르는 개구리가 있다면 이는 당연히 청개구리이다. 청개구리는 영어로 ‘tree frog(나무 개구리)’라고 부르는데, 여느 무미양서류들과는 달리 발가락 끝에 사물에 잘 붙을 수 있도록 둥근 빨판(흡반)이 있어서 풀이나 나무도 잘 타고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들은 논이나 습지 주변에서 번식한 후 풀이나 나무 위에 올라가 쉬거나 먹이 활동을 하며, 너무 덥거나 추울 때는 돌과 나무 틈이나 흙을 파고 들어가 시간을 보내곤 한다.
청개구리가 나무를 오르는 것은, 맹꽁이가 땅을 파고 속으로 들어가는 것만큼이나 당연한 일인데, 언제부터인가 맹꽁이가 나무를 타고 올라가 청개구리와 같은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다. 배수로나 집수정에 빠진 맹꽁이가 생존을 위해 수직 벽을 타고 오르는 것을 넘어 이제는 생존보다는 새로운 삶의 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생각지도 못했던 ‘나무 개구리’가 된 것이다.
배다리 저수지에서 시작된 금개구리가 분산 압력에 의해 실개천을 거쳐 함양지 못까지 세력을 넓힌 것도 믿기지 않지만, 배다리 마을숲에서 벚나무를 타고 올라가 그곳에 터를 잡은 맹꽁이 또한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1. 맹꽁이의 연중 생활사
한해의 절반 이상을 땅속에서 지내는 맹꽁이(2013.9.13 덕동산마을숲)
맹꽁이는 겨울에는 땅속에서 동면하다가 봄에 깨어나 먹이 활동을 시작하며, 여름 장마철에는 장맛비로 고인 물에서 번식하고, 가을에는 다시 동면을 준비하는 계절적 생활사를 지닌다. 10월부터 2월까지의 동면기와 장마가 오기 전까지의 긴 시간을 땅속에서 보내는 것을 보면, 장마와 함께 시작되는 번식과 활동 기간은 고작 3개월 남짓에 불과하다.
2. 맹꽁이에게 6~8월(여름)
장마를 기다린 맹꽁이에게 여름은 최고의 존재감을 나타내는 계절(2013.6.18 덕동산)
맹꽁이에게 6~8월은 주요 활동기이자 번식기로, 연중 최고의 시기다. 강수량은 적었지만 평택시의 경우 맹꽁이에게 자극이 될 만한 장맛비가 지난 6월 20일에 있었고, 번식에 충분한 빗물은 아니었어도 평택 전역의 맹꽁이들이 나대지의 집터 주변부터 마을 숲 가장자리, 심지어 배수로 집수정과 맨홀 안에서도 소리 높여 존재감을 드러냈다.
3. 맹꽁이의 번식 과정
배다리마을숲 묘지의 이장으로 생긴 구덩이에 낳은 맹꽁이 알(2024.6.23 배다리마을숲)
맹꽁이는 다른 개구리류보다 늦은 시기인 장마철이 시작되면, 얕게 고인 물에 암수가 모여 번식한다. 알은 하나하나 흩어지거나 모여 수면 위에 떠 있고, 하루나 이틀 만에 올챙이로 부화해 한 달 안에 성체로 성장한 뒤 물을 떠난다. 장맛비로 고인 물에서 번식을 마치면 다시 주변 은신처로 돌아가 먹이 활동을 하며, 10월이면 겨울 준비에 들어간다.
4. 맹꽁이의 신체적 특징
몸을 부풀려 소리를 내거나 위협에 대응하는 맹꽁이(2013.6.18 덕동산마을숲)
맹꽁이는 몸통이 둥글고 다리가 짧은, 작은 맹꽁이과의 개구리이다. 등에는 불규칙한 검은 반점이 있으며, 수컷은 턱 아래의 울음주머니로 암컷과 구별된다. 맹꽁이는 몸을 부풀려 위협에 대응하고 끈끈한 점액을 분비하기도 하며, 위급할 때는 뒷다리로 땅을 잘 파 숨기 때문에 ‘쟁기발개구리’라고도 불린다.
5. 맹꽁이, 청개구리의 신체적 특성 비교
손가락, 발가락 끝에 흡반이 발달한 청개구리(2011.9.25 덕동산마을숲)
맹꽁이는 땅을 파기 좋도록 앞발과 뒷발이 짧고 강하며, 뒷발 안쪽에는 흙을 밀어내기 좋은 ‘땅파기 돌기(경화된 돌기)’가 있다. 반면, 청개구리는 나무에 오르기 좋게 손끝과 발끝에 접착성이 있는 ‘흡반’이 발달해 있어 잎과 가지에 잘 붙는다. 맹꽁이는 땅속에 숨어 사는 데 특화된 신체 구조가 특징이라면, 청개구리는 나무에 올라 활동하기에 적합한 몸과 흡반을 지녔다.
6. 청개구리가 된 맹꽁이
청개구리가 되어 벚나무를 수직으로 오르는 맹꽁이(2025.7.6. 배다리마을숲)
야행성과 지상 생활, 숨기 행동에서는 맹꽁이와 두꺼비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맹꽁이와 청개구리는 다소 차이가 있다. 특히 번식 후 숲으로 이동해 나무에 올라 휴식하며 먹이 활동을 하는 청개구리와, 땅속에 숨었다가 밤에 나와 먹이 활동을 하는 맹꽁이를 비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배다리마을숲에서는 마치 맹꽁이가 청개구리가 된 듯한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
7. 마을숲의 자존심, 맹꽁이서식지
묘지 이장으로 새롭게 형성된 배다리마을숲 맹꽁이 서식지(2026.6.22 배다리마을숲)
오래전 공동묘지가 있었고, 소사벌 개발과 함께 이장이 이루어진 배다리 마을숲에서는 장마와 함께 맹꽁이들이 깨어나, 이장으로 생긴 구덩이 주변에 모여 구애의 소란을 벌인 뒤 곧바로 산란에 들어간다. 나무에 가려 빛 에너지가 부족하지만, 8월이면 변태를 마친 맹꽁이 유생들이 마을숲 사방으로 활동 범위를 넓히며 마을숲의 자존심으로 거듭난다.
8. 매미의 출현과 맹꽁이의 출현
1차 신란을 마친 후 마을숲에서 먹이 활동 중인 맹꽁이(2025.6.30 배다리마을숲)
한여름에 나타나 무더운 여름을 알리는 대표적인 곤충으로 매미가 있다. 매미 소리는 계절의 흐름을 알려 주며, 생태계의 시간이 잘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때가 되면 번식에 참여했던 맹꽁이들도 마을 숲 이곳저곳을 다니며 먹이 활동에 열중한다. 배다리 마을숲 자작나무 주변과 맨발 걷기 황톳길 주변에서 먹이 활동에 집중하는 맹꽁이를 만날 수 있다.
9. 벚나무에 터 잡은 맹꽁이
껍질눈이 발달한 벚나무를 타고 올라 자리 잡은 맹꽁이(2025.6.28 배다리마을숲)
장마다운 장마는 아니었지만 일부 맹꽁이의 번식이 있었고, 번식에 충분한 장맛비를 기대했으나 장마가 끝났다는 예보가 나왔다. 번식에 참여하지 못한 일부 맹꽁이는 나름 의미 있는 일에 나섰고, 그중 일부는 벚나무의 피목(껍질눈)을 이용해 어른 키높이를 넘는 곳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았다. 일주일간 이어진 야간 조사에서 두 마리가 함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0. 생태계에 중요한 원리 ‘적응’
배수로와 집수정에 빠져 하수관으로 소실되었던 맹꽁이(2023.6.29 소사벌지역)
누가 땅속에만 사는 맹꽁이라고 했는지, 나무를 타고 오르는 것은 청개구리만의 일이라고 했는지는 몰라도, 필요에 따라 벚나무를 수직으로 올라가 굵은 가지가 겹치는 곳의 벌어진 틈새를 확보한 맹꽁이는 일주일 내내 같은 장소에서 확인되었다. 배수로와 집수정에 빠져 하수관으로 소실되었던 맹꽁이지만, 주어진 환경에 적응해 이제는 나무 개구리의 반열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이다.
-
2025-07-07
-
-
평택시 ‘미분양 4,855→4,442가구’… 미분양 해소 기미
-
-
▲ 평택시 동삭·비전·용이동 아파트 밀집 지역(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평택시 미분양 가구가 4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점차 안정세로 돌아서고 있다.
평택시는 올해 1월 미분양 가구가 6,438가구로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많은 미분양 물량을 보였으나, 1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6월 30일 발표한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5월 말 기준 집계에 따르면 평택시는 전월 대비 413가구가 감소한 4,442가구로 집계됐다.
월별로 보면 미분양 가구는 1월 6,438가구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이후 2월 570가구, 3월 587가구, 4월 426가구, 5월 413가구가 감소하면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평택시는 전국 시·군·구 가운데 미분양 주택 물량이 4,442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평택시에 이어 대구 달서구 2,670가구, 경북 포항시 2,498가구, 경남 창원시 1,992가구, 제주시 1,683가구, 양주시 1,663가구, 대구 북구 1,608가구, 이천시 1,479가구, 충남 아산시 1,374가구, 강원 강릉시 1,341가구, 충남 천안시 1,325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경기도 5월 말 미분양 가구는 총 12,155가구로 전월 대비 786가구 감소했으며, ▶양주시 1,663가구 ▶이천시 1,479가구 ▶김포시 659가구 ▶광주시 479가구 ▶의정부시 465가구 ▶용인시 461가구 ▶가평군 424가구 ▶안성시 411가구 ▶남양주시 359가구 ▶화성시 206가구 ▶부천시 203가구 ▶양평군 142가구 ▶동두천시 137가구 ▶고양시 129가구 ▶광명시 126가구 ▶포천시 123가구 ▶안양시 79가구 ▶성남시 55가구 ▶연천군 40가구 ▶오산시 29가구 ▶시흥시 26가구 ▶수원시 10가구 ▶여주시 5가구 ▶하남시 2가구 ▶파주시 1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stat.molit.go.kr) 및 씨:리얼(seereal.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6월 5일 발표한 미분양관리지역 선정·공고에서 평택시를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선정했다. 미분양 관리지역에 선정되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보증 심사 및 요건이 강화되고, 금융권의 PF 대출에 대한 사업성 평가와 리스크관리가 강화되어 신규 주택 공급이 어려워진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2
-
-
[인터뷰] 평택시의회 이윤하 의원, 현장 방문 통한 문제점 도출 및 대안 마련
-
-
“시민의 눈으로 행정 살피겠다”… 국도비 의존도 줄이고 평택형 환경 정책 실현해야
평택시의회 복지행정위원회 이윤하 의원
■ 이 의원, 중장기적 관점으로 평택시 시정 방향과 예산 운용 흐름 파악
- 올해 행정사무감사(이하 행감)를 총평한다면?
한마디로 ‘책임과 실효성이 부족했던 집행부, 실효성 있는 감사를 위한 의회 노력’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의원들은 열심히 준비했다. 자료를 분석하고 현장을 확인하며 질문 하나하나에 대안을 담으려 노력했다. 그러나 일부 집행부는 ‘모른다’, ‘제출하겠다’는 무책임한 답변으로 일관하며 감사를 성실히 임하지 않았다. 가장 큰 문제는 ‘감사 이후’이다. 제도상 조치 결과는 서면으로만 제출하면 끝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이다.
그런 점에서 올해 처음으로 조치 결과 청취 시간이 마련된 것은 의미 있는 변화이다. 감사가 일회성 지적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정책의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허투루·체인지’ 시리즈가 큰 반향을 일으켰다. 어떤 배경에서 준비했나?
시민이 궁금해하는 건 ‘정책을 왜 이렇게 했느냐’보다는 ‘이 예산, 제대로 쓰였느냐’이다.
‘허투루’는 그런 시민의 의문에서 출발했다. 말 그대로 아무렇게나 되는 대로 쓰인 예산,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자 노력했다. 자료 분석은 물론 현장을 찾아 직접 발로 뛰며 확인했다. 근현대음악관 방범 시스템, 평택8경 조형물, 저류지 체육시설 등은 시민의 입장에서 납득하기 어려운 사업들이었고, 평택8경 조형물 설치 사업은 과도한 예산이 집행된 사례이며, 저류지 체육시설은 본래 목적을 상실한 채 배보다 배꼽이 큰 개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사례였다.
또한 경기도 공공도서관 통계 자료 수치를 근거로 평택시의 장애인용 특수자료 및 소장자료 예산 확보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예산 증액 방안을 제안했다.
‘체인지’는 단순한 비판을 넘어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려는 시도였다. 경기도 31개 시·군 통계를 비교하고, 각 지자체의 정책 사례를 연구하며 우리 시에 맞는 방향을 찾고자 했다. 단지 ‘문제 있다’가 아니라 ‘이렇게 바꾸면 된다’를 보여주는 것이 목표였다.
- 이번 행감에서 중점을 둔 분야가 있다면?
모든 분야를 놓치지 않으려 했지만, 예산과 환경 두 축에 가장 집중했다. 예산은 단기 비교보다는 5년 전인 2019년과 올해를 비교했다. 어떤 부서가 몇 배로 예산이 증가했는지, 어떤 분야는 거의 제자리였는지를 구조적으로 파악했다. 실제로 문화예술과는 209% 예산이 증액된 반면, 체육진흥과는 8.7% 증가에 그쳐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건 단순한 통계 이상으로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시책의 불균형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또한 평택시는 경기도 환경체감도 조사에서 31개 시·군 중 ‘매우 나쁘다’ 1위를 기록했다. 시민 건강과 직결된 문제인데도 불구하고 시는 아직도 안일한 대응에 머물러 있다. 저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단순한 불만이 아닌 구조적으로 풀어야 할 숙제로 보고 있다.
- 국도비 보조 의존도에 대한 우려를 강하게 제기한 이유는?
2024년 기준으로 평택시 일반회계의 65% 이상이 국도비 보조사업에 묶여 있다. 이건 지방자치가 아니라 ‘지방집행’에 가까운 구조로 보인다.
자체 예산 없이 중앙정책에 따라 움직이는 행정은 유연성과 창의성을 잃기 쉽다. 저는 국도비 보조사업 비중을 50% 이하로 낮추는 것이 현실적 목표라고 생각한다. 무조건 많이 따오자는 게 아니라, 평택시에 꼭 필요한 사업을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할 것이다. ‘중앙이 주면 받는다’는 태도에서 ‘우리에겐 이게 필요하다’는 철학으로 바뀌어야 한다.
- 문화예술과와 체육진흥과 예산 격차에 대한 지적은 어떤 문제의식을 담고 있나?
문화예술에 예산이 투입되는 건 당연히 중요하다. 하지만 체육 역시 시민 건강, 공동체성, 도시 브랜드를 좌우하는 핵심이다.
5년간 문화예술과는 3배 이상 예산이 늘었는데, 체육은 거의 정체됐다. 인구 65만 도시가 프로스포츠 구단 하나 운영하지 못한다는 건 행정적 인식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 생활체육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체감할 수 있는 영역이다. 시민 생활의 질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균형 잡힌 예산 편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 환경 분야에서 많은 문제 제기를 했는데, 어떤 점이 가장 시급하다고 보는지?
시민 건강과 직결된 환경 문제는 시간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특히 개발 압박이 큰 평택은 환경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실제로 경기도 환경 체감도 조사에서 평택은 ‘매우 나쁘다’ 1위를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설문이 아니라, 시민이 체감하는 공기, 물, 생활환경 전반에서 만족도가 최하위라는 경고라고 생각한다.
‘평택형 환경정책’을 따로 설계해야 한다. 전기차 인프라 확대, 녹지 공간 확보, 폐기물 정책 고도화 등 다양한 수단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건 ‘의지’라고 생각한다. 저는 새롭게 생긴 ‘기후에너지과’가 단지 부서 하나 추가가 아니라, 평택의 환경 정책을 본격화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
- 시 집행부에 당부하고 싶은 점은?
효율적이고 책임감 있게 예산을 집행해야 한다. 시민의 소중한 세금은 단 한 푼도 낭비되어서는 안 된다. 이번 감사에서 드러난 한국근현대음악관 방범 시스템 예산 문제, 황새서식지 성과 미진, 평택8경 조형물 설치, 문화재단 무전기 구매 사례는 예산 집행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더욱 강화해야 함을 명백히 보여줬다. 각 부서는 부여된 예산에 대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그에 상응하는 성과를 반드시 창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시대의 변화를 읽고 능동적으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우리는 지금 4차 산업혁명과 기후 변화라는 거대한 전환의 시대를 살고 있다. 평택시 또한 급격한 인구 증가와 도시 개발로 인해 새로운 행정 수요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단순히 기존의 방식을 답습하거나 관성에 젖어서는 시민들의 높아진 기대와 복잡해진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미래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정책 기획 능력을 갖춰야 한다.
- 시민에게 하고 싶은 말은?
제9대 평택시의회 마지막 행정사무감사를 마치며, 평택시민 여러분께 진심을 담아 메시지를 전하고 싶습니다.
이번 감사 준비 과정에서 전문가 집단이나 시민단체, 이해당사자 등의 시각에서 벗어나 오직 시민 여러분의 입장에서 눈높이를 맞추려 부단히 노력했습니다. 시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평택시 행정의 불편함과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할 실질적인 방안 마련에 집중했습니다.
특히 시민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평택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번 행감은 시민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다시금 되새기는 소중한 기회였습니다. 시민 여러분의 삶이 더 나아지고, 평택시가 더욱 발전하는 그날까지, 시민의 눈으로 행정을 살피고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2
-
-
[인터뷰] 평택시의회 김명숙 의원, 6개월 전부터 행감 준비… 문제점 밝히고 대안 제시
-
-
“시민 눈으로 행정 살피고, 시민 목소리로 시정 움직이며 변화의 방향 제시하겠다”
시정 전반에 대해 날카로운 지적을 하고 있는 김명숙 의원
평택시의회 제256회 제1차 정례회 기간 중 6월 20일부터 6월 27일까지 2025년 행정사무감사(이하 행감)가 진행됐다. 행감에서 기획행정위원인 김명숙 의원의 ‘평택시 중장기계획 및 새로운 업무 지침 미숙지 지적’, ‘업무 지침 변화, 회계 과목 통계목 변경, 중장기계획상의 기준 불일치 등으로 인한 예산 수립 및 사업 연계 혼선 지적’ 등은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명숙 의원은 이번 행감을 위해 6개월 전부터 자료 검토를 시작했으며, 예상 질의서를 세 차례에 걸쳐 준비했고, 예상 답변서까지 마련하는 등 최선을 다했다. 김 의원은 행감을 마치면서 “의원 놀이가 아닌 의원 역할에 충실한 시간이었고, 책임감 있게 임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새로운 업무 지침과 중장기계획을 공무원들이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점, 법령 인식 부족, 부서 간 협업 미비 등이 시정 전반에 걸쳐 드러났다”고 진단했다. 6월 30일 김명숙 의원을 만나 행감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편집자 말>
■ 김 의원 “단발성 지적이 아니라 추후 이행 상황까지 면밀히 점검해야”
- 이번 행감에서 느꼈던 점과 앞으로 개선돼야 할 점은?
이번 행감을 통해 행정의 전반적인 흐름과 실태를 더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현장의 목소리가 행정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제도와 실무 간의 괴리가 생각보다 많이 존재하고 있다는 점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지속적인 피드백 구조와 사후 점검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아직 미흡하다고 느꼈다. 또한 단발성 지적이 아니라, 추후 이행 상황까지 면밀히 점검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 행감에서 중점을 두고 살핀 부분과 문제점은?
예산의 실효성과 주민 체감도에 중점을 두고 분석했다. 특히 예산이 실제 정책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중복되거나 비효율적으로 집행되는 항목은 없는지를 꼼꼼히 점검했다. 그 과정에서 단순한 수치나 성과지표보다는, 행정이 조례나 법령에 근거해 집행되었는지, 변경된 지침이나 상위법령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 그리고 의회의 승인과 동의 절차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는지에 집중했다.
문제점은 일부 사업에서 지침 개정 사항을 반영하지 않은 채 구 관행대로 집행하거나, 의회의 동의 없이 예산을 전용하거나 협약을 체결한 사례, 또는 절차적 하자가 있었음에도 이를 사후에 정당화하려는 행정 태도가 발견됐다.
이에 해결책으로 사전 단계에서 조례·법령 검토 강화, 지침 변경 시 전 부서에 대한 교육 및 공유 체계 마련, 의회의 승인 절차를 형식이 아닌 실질적 검토의 기회로 삼을 것, 그리고 절차적 하자가 발생했을 경우 즉시 시정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책임 행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감사는 단순한 행정 점검이 아니라, 제도적 적합성과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집중했다.
- 평택시의 재정 상황에 대한 진단과 해법은?
평택시는 현재 지방채 2,111억 원, 전체 예산의 약 10%에 달하는 부채를 안고 있으며, 삼성전자 등 특정 기업에 과도하게 의존한 세수 구조로 인해 재정이 경기 변동에 취약한 상태다. 특히 국·도비 의존율이 50%를 넘고, 시중은행 차입까지 확대되면서 재정 건전성에 심각한 경고등이 켜졌다.
때문에 세수 다변화 전략을 수립해 특정 대기업 의존에서 벗어나 중소기업, 소상공인, 지역 기반 산업을 육성해 안정적인 세입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또 성과 기반 예산제도, 강화예산 편성과 집행 전 과정에 성과지표와 사후 평가 체계를 도입해, 예산이 실제 시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더 나아가 재정 투명성 및 시민 참여 확대 예산 편성 과정에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제도화하고, 주요 재정 정보는 공개와 소통 중심으로 운영해 신뢰를 높여야 한다. 특히 지방채 관리 및 재정 건전화 로드맵을 마련해 단기적 채무 감축 계획이 아닌, 중장기 재정 체질 개선 계획을 수립하고, 불필요한 신규 차입은 철저히 제한해야 한다.
- ‘평택함’ 사업자 선정과 집행 과정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나?
평택시는 민간공모 방식으로 사업자를 모집했지만, 단 1개 사단법인만 응모했고, 이 단체와 곧바로 실시협약을 체결했다. 경쟁 없는 단독 응모와 협약 체결은 공정성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협약 체결 이후, 평택시는 도비 9억 원의 특별조정교부금을 해당 민간사업자에게 직접 지원했다. 이는 지방교부세법 시행령 및 행정안전부 지침에 위배 된다는 지적이 있으며, 사후 특혜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또 사업자가 사업을 포기하거나 불이행할 경우를 대비한 협약이행보증서조차 받지 않고 협약을 체결한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사업 추진 이후에도 공정률이 60%대에 머무르며 개장 시점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부지 변경, 기관 간 협의 지연, 행정 절차 미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고 있다.
사업 정상화를 위해선 감사 및 재평가를 통한 공정성 회복이 있어야 하고, 협약이행보증서 확보, 사업 이행 조건 명확화 등 위험관리 장치를 강화해야 하며, 사업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민단체, 전문가, 지역사회 의견을 반영하는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현재 여건에 맞는 사업 규모 조정과 단계별 추진 로드맵을 수립해 현실적인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6조가 넘는 공유재산 관리의 미흡을 지적했다. 공유재산 관리와 관련된 가장 큰 문제와 해결 방안은?
문제점은 일부 공유재산이 목적 외 사용되거나 장기간 방치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태조사와 관리대장 정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산화된 작업이 없다. 수익 창출 가능성이 낮은 유휴재산이 다수 존재했지만, 이에 대한 활용 계획이나 처분 전략이 부재했다. 또 부동산 정보, 회계 시스템, 행정정보 간의 데이터 연계가 미흡하여 자산의 통합적 관리가 어려웠다. 공유재산심의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검토보다는 형식적 절차에 그친 사례를 지적했다.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모든 공유재산에 대해 정기적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디지털 기반의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실시간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활용도가 낮은 자산은 매각 또는 임대, 공공성이 높은 자산은 시민 편익 중심으로 재배치하는 전략이 필요하며, 단순 보존이 아닌 공공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고려한 성과지표 기반의 관리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
또 시민 참여형 의사결정 구조를 강화해야 한다. 공유재산의 취득·처분·활용 과정에 시민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공론화 절차를 제도화해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전담 인력과 법률·회계·부동산 전문가의 자문 체계를 강화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 이번 행감을 마무리하며 시 집행부에 바라는 점은?
단순히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집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정책의 실효성과 시민 체감도를 중심에 두는 행정으로 전환해야 한다. 성과 없는 반복 사업, 보여주기식 행정은 과감히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사업자 선정, 예산 배분, 공유재산 활용 등 주요 행정 절차에서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시민의 세금이 투입되는 사업에 대한 책임 있는 설명과 사후관리 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부서 간 칸막이 행정도 해소하면 좋겠다. 부서 간 협업이 부족해 정책이 단절되거나 중복되는 사례가 많다. 통합적 행정 운영 체계를 구축해 부서 간 시너지를 높여야 한다.
이외에도 단기 성과 중심의 예산 편성에서 벗어나, 재정 건전성과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중장기 재정운영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 형식적인 중장기 계획이 아닌 제대로 된 계획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행감을 마무리하며 시민에게 전하고 싶은 말은?
행감은 단순한 행정 점검을 넘어, 100만 도시를 향해 나아가는 평택시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대형 공공건축과 도시미관 개선 등 굵직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 이 시점에, 예산의 건전성과 지방채 의존도를 점검하고, 평택시 살림살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급격한 도시 성장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정 불균형과 미래 부담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예산 편성과 집행의 합리성, 사업의 실효성, 공유재산의 활용 현황까지 폭넓게 살펴보았다. 시민의 세금이 낭비되지 않고, 진짜 삶의 변화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제 의정활동의 중심이다. 앞으로도 시민의 눈으로 행정을 살피고, 시민의 목소리로 시정을 움직이며, 변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앞장서겠다. 감사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감사 이후의 실질적인 개선과 변화까지 함께 책임지는 의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2
-
-
평택시의회 이윤하 의원, ‘2025 행감’에서 시민 목소리 대변했다!
-
-
“허투루 쓰인 예산은 반드시 바꾸고, 시민 눈높이에서 정책을 설계해야 합니다”
2025 행정사무감사에서 발언하고 있는 이윤하 시의원
평택시의회 제256회 제1차 정례회 기간 중 6월 20일부터 6월 27일까지 진행된 2025년 행정사무감사(이하 행감)가 마무리된 가운데 이윤하 시의원의 활약이 눈에 띄었다.
지난해 행감에서도 평택시민모니터링단(93인)은 이윤하 의원을 행감 우수 의원으로 선정했으며, 사진과 동영상 등 직접 촬영한 자료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 제기 및 문제 되는 현장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고, 타 지자체 사례 및 법규를 제시하면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해 우수 의원 가운데에서도 최다 점수를 받은 바 있다.
올해 행감에서 이윤하 의원은 ‘허투루’와 ‘체인지’ 시리즈를 도입했다. ‘허투루’는 예산 낭비 및 비효율 사례를 지적하고, ‘체인지’는 정책 개선 대안을 제시하는 형식으로, 데이터 기반의 행감을 통해 시민들에게 문제점과 대안이 직관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시각 자료를 적극 활용했다.
아울러 이 의원은 문제 제기, 정책 대안 제시, 성실성, 일문일답, 공익성 등의 분야에서 날카로운 지적과 시민의 삶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시 집행부의 무성의하고 책임 회피적인 태도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이 의원은 ▶근현대음악관 방범 시스템 ▶평택8경 조형물 ▶저류지 체육시설에 대한 문제 제기 및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평택시 집행부의 국도비 보조 의존도 ▶환경 체감도 ▶문화예술과와 체육진흥과의 예산 격차 ▶평택형 환경 정책 등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지적과 함께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특히 평택시가 운영하는 문화시설의 과다한 방범 카메라(CCTV) 설치에 대해 예산 낭비라고 지적했다. 문제가 된 곳은 한국소리터 내 근현대음악관 2~3층 전시실로, 전시물이 소규모에 불과한 공간에 방범 카메라가 무려 16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이윤하 의원은 “신라 금관이 있어도 이 정도의 보안은 하지 않는다”며, 해당 시설에 대한 예산 집행의 비효율성과 감시 체계의 과도함을 강하게 질타했다.
행감을 마친 뒤 이윤하 의원은 “감사는 질타가 목적이 아니고 변화를 위한 출발선”이라며 “이번 감사에서 저는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정책과 예산에 중점을 두었고, 문제를 지적했다면 반드시 대안을 제시하려 했고, 현장을 직접 찾아 발로 뛰며 해답을 찾고자 노력했다”고 행감 소감을 밝혔다.
이어 이 의원은 “집행부에는 예산 집행의 책임과 정책의 진정성, 그리고 현장감을 강조하고 싶다. 보고서로 끝나는 행정이 아니라 시민 일상 속에서 숨 쉬는 정책을 만들어 주시길 바란다”며 “저 역시 집행부와 함께 더 치열하게 공부하고, 더 낮은 곳에서 시민 목소리를 듣겠다”고 강조했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2
-
-
평택안성지역노조, 비전푸르지오 아파트 경비노동자 부당해고 규탄
-
-
민주노총 민주일반연맹 평택안성지역노동조합(위원장 김기홍, 이하 조합)과 평택안성비정규노동센터(이하 센터)는 7월 1일 오전 11시 30분, 평택 비전푸르지오 아파트 정문 앞에서 경비노동자 부당해고 규탄 기자회견을 가졌다.
앞서 지난해 6월에도 삼성아파트 경비노동자가 노동조합 활동을 한다는 이유로 해고 통보를 받았으나, 그 후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부당해고 판정 결과가 내려져 최종 복직이 결정된 바 있다.
조합에 따르면 6월 30일자로 부당해고 당한 A씨는 비전푸르지오 아파트에 2024년 1월 3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근로 계약을 맺고 입사하였고, 경비용역업체 용역 기간이 올해 6월 30일까지인 관계로 A씨는 올해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2차로 근로계약을 갱신했다.
이후 새롭게 경비용역 계약을 맺은 B사는 면접을 실시한 후 경비노동자 5명 가운데 3명은 고용 승계했고, A씨를 비롯한 2명의 노동자를 해고했으며, 해고 사유를 묻는 A씨의 질문에는 현재까지 답변이 없는 실정이다.
조합 김기홍 위원장은 “7월 1일부터 경비 용역을 수행할 새로운 용역 업체에서 단 5분간의 면접을 통해 해고를 결정했다”면서 “해고 노동자는 근무 기간 중 어떠한 경고나 시말서 제출 등 징계를 받은 바가 없다. (경비 용역 업체는) 어떠한 기준 아래 면접을 진행했는지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김 위원장은 “평택 비전푸르지오 아파트는 과거 용역 업체가 변경되는 과정에서 모두 고용 승계가 되어 왔고, 지금까지 스스로 퇴사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근로계약이 갱신되어 왔다”며 “면접 결과가 공정하고 투명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고용 승계 거절의 합리적 이유가 없다면 이는 부당해고와 마찬가지라는 것이 대법원 판례”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해고 사유 확인을 위해 연락을 해도 용역 경비업체는 답변이 없고, 관리사무소장은 자신과 무관한 일이라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면서 “고용승계 기대권이 존재하는 노동자를 고용 승계 거절의 합리적 이유도 제시하지 않고 고용 승계를 하지 않았으므로 명백히 부당한 해고”라고 강조했다.
한편 조합과 센터는 A씨의 복직이 되지 않을 경우 비전 푸르지오 아파트 정문 앞에서 해고된 경비노동자와 함께 출·퇴근 투쟁을 진행할 예정이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2
-
-
이병진 국회의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선임
-
-
▲ 제422회 국회 제4차 본회의 대정부 질의를 하고 있는 이병진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병진 국회의원(평택을)이 27일(금) 22대 국회 2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특위) 위원으로 선임됐다.
국회 예결특위는 정부가 제출하는 예산안과 결산안을 심의하고 확정하는 국회의 핵심 상설특별위원회로, 여야의원 50명으로 구성되는 국가 재정 운용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다.
이번 선임은 그간 이병진 의원이 평택시와 전국 농림·해양 분야의 예산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의정활동을 펼쳐온 것을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선임이 이재명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과 경제 성장 기조의 2차 추경을 앞두고 이뤄진 만큼, 평택시 지역 사업뿐 아니라 국가 성장을 위한 사업들을 함께 챙기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됐다.
이병진 의원은 “대내외로 어려운 와중에 여당 국회의원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국가 예산이 꼭 필요한 곳에 쓰일 수 있도록 꼼꼼히 살피고, 민생경제 회복에 소홀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선임 소감을 밝혔다.
이어 “특히 평택의 숙원사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예산 심사 과정 전반에 걸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7-01
-
-
평택시 6월 넷째 주 아파트 매매·전세가 “보합세”
-
-
▲ 평택시 용이동 아파트 밀집 지역(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평택시 6월 넷째 주(6월 24일~6월 30일)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830만 원, 3.3㎡당 평균 전세가격은 574만 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3.3㎡당 매매가격은 안중읍 0.54%(4만 원↑), 청북읍 0.14%(1만 원↑) 상승했으며, 나머지 읍·면·동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3.3㎡당 전세가격은 안중읍 지역만 0.18%(1만 원↑) 상승했으며, 나머지 읍·면·동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매매가격이 상승한 안중읍 소재 아파트 3.3㎡당 매매가격은 ▶송담지엔하임1차 1,181만 원 ▶송담지엔하임2차 1,144만 원 ▶힐스테이트송담 1,115만 원 ▶성원상떼빌 890만 원 ▶화현마을우림필유 873만 원 ▶안중우림필유골드154 808만 원 ▶사랑마을동신2단지 749만 원 ▶아름마을동신3단지 716만 원 ▶미소마을서광(서광프리메라) 697만 원 ▶해동마을삼익참드림 697만 원 ▶이화마을건영캐스빌 670만 원 ▶현대1차 630만 원 ▶현대3차 618만 원 ▶늘푸른 606만 원 ▶행복마을동신1단지 588만 원 ▶신창 560만 원 ▶안중우림 508만 원 ▶동환 398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세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인 고덕동 소재 아파트 3.3㎡당 전세가격은 ▶고덕국제신도시제일풍경채에듀2차 993만 원 ▶고덕국제신도시파라곤 991만 원 ▶고덕국제신도시제일풍경채 906만 원 ▶신안인스빌시그니처 892만 원 ▶고덕신도시자연앤자이 886만 원 ▶고덕국제신도시파라곤에듀포레 871만 원 ▶고덕국제신도시리슈빌레이크파크 581만 원 ▶고덕국제신도시대광로제비앙디아트 571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아파트 가격은 0.74% 상승했으며, 서울 1.63%, 경기도 0.23%, 인천시 -0.01%, 광주시 0.09%, 대구시 0.21%, 대전시 -0.01%, 부산시 -0.13%, 울산시 0.00%, 강원도 -0.26%, 경상남도 0.34%, 경상북도 0.09%, 전라남도 -0.02%, 전라북도 0.01%, 제주도 -0.01%, 충청남도 0.65%, 충청북도 0.29%, 세종시 0.02%로 집계됐다.
경기도 아파트 가격은 과천시 1.48%, 오산시 1.07%, 성남시 0.95%, 광명시 0.45%, 광주시 0.40%, 안양시 0.34%, 용인시 0.25%, 김포시 0.06%, 하남시 0.03%, 평택시 0.02%, 고양시 0.02%, 수원시 0.01%, 화성시 0.01% 상승했으며, 양주시 -0.12%, 안산시 -0.09%, 안성시 -0.07%, 의정부시 -0.06%, 부천시 -0.05%, 시흥시 -0.03%, 군포시 -0.03%, 구리시 -0.01% 하락했다. 가평군, 남양주시, 동두천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의왕시, 이천시, 파주시, 포천시는 가격 변동이 없었다.
◆ 평택시 읍·면·동별 3.3㎡당 매매가격
▶고덕동 1,648만 원 ▶죽백동 1,213만 원 ▶용이동 1,192만 원 ▶소사동 1,146만 원 ▶평택동 1,134만 원 ▶동삭동 1,122만 원 ▶장안동 991만 원 ▶칠원동 982만 원 ▶세교동 932만 원 ▶군문동 876만 원 ▶합정동 873만 원 ▶서정동 848만 원 ▶이충동 845만 원 ▶장당동 807만 원 ▶비전동 792만 원 ▶칠괴동 779만 원 ▶안중읍 747만 원 ▶청북읍 734만 원 ▶가재동 733만 원 ▶통복동 726만 원 ▶지산동 717만 원 ▶독곡동 693만 원 ▶고덕면 637만 원 ▶팽성읍 614만 원 ▶포승읍 582만 원 ▶오성면 500만 원 ▶진위면 460만 원 ▶신장동 388만 원 ▶현덕면 370만 원
◆ 평택시 읍·면·동별 3.3㎡당 전세가격
▶고덕동 836만 원 ▶죽백동 798만 원 ▶용이동 792만 원 ▶평택동 787만 원 ▶소사동 771만 원 ▶동삭동 704만 원 ▶칠원동 681만 원 ▶장안동 673만 원 ▶세교동 657만 원 ▶군문동 644만 원 ▶이충동 614만 원 ▶비전동 613만 원 ▶장당동 610만 원 ▶청북읍 586만 원 ▶안중읍 568만 원 ▶통복동 567만 원 ▶지산동 560만 원 ▶합정동 540만 원 ▶서정동 524만 원 ▶가재동 516만 원 ▶독곡동 511만 원 ▶칠괴동 500만 원 ▶포승읍 494만 원 ▶고덕면 454만 원 ▶팽성읍 448만 원 ▶진위면 322만 원 ▶오성면 314만 원 ▶신장동 296만 원 ▶현덕면 269만 원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6-30
-
-
[김만제의 평택의 자연] 사계절 우리 곁에 머무는 새들, ‘텃새’
-
-
봄이 오면 번식을 위해 여름새들이 우리 고장을 찾는다. 이들은 혹독한 겨울이 오기 전에 다시 남쪽으로 떠나고, 그 자리를 북쪽에서 내려온 오리류, 고니류, 기러기류 같은 겨울새들이 채운다. 계절마다 새들의 이동이 반복되면서 다소 혼란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그 속에서도 흔들림 없이 묵묵히 자기 자리를 지키는 새들이 있다. 바로 ‘텃새’다.
텃새는 사계절 내내 우리의 일상 속에 머무는 존재다. 여름에는 더위를 견디며 살아가고, 겨울이면 추위를 이겨내며 주변 환경에 맞춰 유연하게 적응한다. 물을 입에 머금고 짧게나마 물 목욕을 즐긴 뒤, 익숙한 곳에서 열매나 곤충을 찾아 먹으며 에너지를 보충한다. 놀라운 생존력과 적응력으로 우리 곁에서 일상을 함께 이어간다.
철새가 계절의 변화를 보여주는 존재라면, 텃새는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의 지속성을 보여주는 생물이다. 우리는 그들의 존재가 너무 익숙해 소중함을 잊곤 한다. 하지만 그 작은 생명들이 사계절 내내 우리의 자연과 생태계를 지키고 있다. 텃새는 단순히 머물러 사는 새가 아니다. 이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의 일부이며, 함께 공존하는 이웃이다.
1. 철새와 텃새
배다리의 텃새로 생물다양성을 뒷받침하고 있는 오목눈이(2025.2.24 배다리산책로)
철새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번식지와 월동지를 연결해 생물다양성을 넓히고, 종자 확산과 해충 조절에 기여한다. 반면, 텃새는 한 지역에 정착해 일 년 내내 생태계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철새의 이동이 생태계 간 물질과 에너지의 순환을 촉진한다면, 텃새는 지역 생물군의 균형을 이루며 먹이사슬의 핵심 고리로서 생물다양성을 뒷받침한다.
2. 묵묵히 그 자리를 지키는 새들
일 년 내내 같은 지역에서 살아가는 대표적인 텃새, 참새(2022.4.12 배다리마을)
텃새란 철새와는 달리 계절에 따라 이동하지 않고, 일 년 내내 같은 지역에서 살아가는 새들을 말한다. 이들은 번식과 월동을 모두 한곳에서 해결하며, 자연의 변화에 적응해 살아간다. 계절마다 다양한 새들이 찾아왔다 떠나는 우리 고장에서, 꿩, 참새, 딱새, 박새, 까치, 물까치, 곤줄박이, 멧비둘기, 직박구리 등의 텃새는 그 자리를 묵묵히 지키는 자연의 고정 구성원이다.
3. 배다리생태공원의 조류와 텃새
배다리 전역에서 관찰되고 있는 텃새, 쇠박새(2025.2.24 배다리산책로)
우리나라에서는 약 550종 이상의 야생 조류가 관찰되며, 이 중 철새가 약 320종, 텃새는 약 90종, 나그네새는 약 140종으로 알려져 있다. 배다리에서 몇 년 동안 확인된 야생 조류는 모두 60여 종이다. 이 중 순수한 의미의 텃새는 약 26종으로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한다. 그러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번식 시기와 분포 지역이 점점 넓어지는 등 혼란이 가속화되고 있다.
4. 생태계 속 숨은 조력자, 꿩
저수지 풀밭에서 까투리를 기다리고 있는 장끼(2022.3.20 배다리저수지)
배다리저수지 풀밭에서는 3월부터 영역에 대한 강한 소유욕을 보이며,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뽐내는 꿩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다. 꿩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텃새로, 일 년 내내 같은 지역에 머물며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잡식성으로 다양한 식물의 씨앗을 먹어 식물 번식에 도움을 주며, 지역 생태계 건강도를 판단하는 지표종 역할도 한다.
5. 서식지 건강성의 지표, 직박구리
단풍나뭇과 복자기 수피에서 수액을 찾는 직박구리(2023.1.12. 배다리산책로)
직박구리는 평택 전역에서 텃새로서 최상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3월 하순 개화하는 버드나무의 꽃꿀을 시작으로, 살구나무와 왕벚나무는 물론 곤충과 열매, 한겨울의 잡초와 나무 수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텃새로 살아남기의 본보기를 보여준다.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리며, 해충을 잡아 생태 균형을 돕는 등 생물 간 상호작용을 이끄는 매개자 역할을 한다.
6. 생태계의 숨은 연결고리, 멧비둘기
연중 배다리 전역에서 존재감을 나타내는 멧비둘기(2023.1.23 배다리산책로)
멧비둘기는 참새, 까치, 어치, 직박구리 등과 함께 장기간 무리를 지어 다니며 농작물이나 과수에 피해를 주어 유해조수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러나 곡식, 열매, 풀씨 등을 먹으며 씨앗을 퍼뜨리는 데 기여하고, 한편으로는 먹이사슬 유지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한 대표적인 새로서, 생태계 내에서 물질 순환과 종 간 상호작용의 핵심 연결고리로 작용한다.
7. 익숙하지만 특별한 존재, 딱새
배다리 전역에서 가깝게 다가서는 텃새, 딱새(2023.2.19 배다리마을숲)
참새만큼이나 흔한 텃새이지만, 번식기에는 꾀꼬리나 되지빠귀 같은 명금조에 뒤지지 않는 울음소리를 들려준다. 때로는 제비와 함께 집 안으로 들어와 신발장이나 선반 위에 둥지를 틀 만큼 사람과 익숙한 관계를 맺고 있다. 배다리생태공원 전역에서도 성조와 유조를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다. 곤충을 즐겨 먹지만 마을숲의 찔레 열매에도 큰 관심을 보인다.
8. 텃새 까치의 다면적 생태 역할
배다리 전역에서 적잖은 텃세를 부리는 까치(2022.4.16 배다리저수지)
까치는 배다리에 함께 서식하는 어치, 물까치, 큰부리까마귀와 같은 까마귓과의 텃새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농작물 피해나 다른 조류의 둥지를 습격하는 행동으로 인해 유해조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생태계 내에서는 청소동물이자 먹이사슬의 중간 포식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변화된 생태계에 적응한 동물들의 생존력을 보여주는 지표종으로서의 의미도 지닌다.
9. 기후변화 감지자, 박새류
번식기를 맞아 먹이를 찾아다니는 박새(2022.4.14 배다리마을숲)
박새류는 참새목 박새과에 속하는 새들을 통칭하는 말로, 배다리에서는 박새, 곤줄박이, 쇠박새, 진박새 등이 대표적인 종이다. 이들은 숲이나 정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유익한 산림 해충의 포식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급격한 기온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번식 시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지표종으로서 생태계 변화를 관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10. 물까치의 유해 가능성과 생태적 가치
익어가는 산수유 열매 하나를 입에 문 물까치(2024.10.16 배다리산책로)
물까치는 까치와 달리 법적으로 유해조수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과수원 등에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거나 도시에서 사람을 공격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지능이 높고 사회적 행동이 발달한 물까치는 중간 포식자로서 먹이사슬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특히 나무 열매를 즐겨 먹기 때문에 소화 후 배설을 통해 일부 식물의 씨앗 확산을 도울 수 있다.
-
2025-06-30
-
-
‘평택~부발 철도’ 건설사업… 중대한 분수령 맞아
-
-
평택역↔안성↔용인↔이천 부발역 59.4㎞ 구간… 수도권 남부·충청·강원권 연결
▲ 왼쪽 세 번째부터 이상일 용인시장, 김경희 이천시장, 김보라 안성시장, 정장선 평택시장, 윤종군 국회의원
대한민국 동서 교통망의 새로운 대동맥이 될 평택~부발 철도 건설사업이 중대한 분수령을 맞이했다.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사회기반시설(SOC) 분과위원회가 지난 20일 세종시 한국개발연구원(KDI) 본관에서 개최되면서 사업의 본격적인 평가 절차에 돌입했다.
이날 회의에는 KDI 재정사업평가위원, 외부 전문가 등 총 12명의 위원이 참석했으며, 정장선 평택시장을 비롯해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 김보라 안성시장, 이상일 용인시장, 김경희 이천시장 등 지역 단체장들이 참석해 사업의 필요성을 적극 호소했다.
평택~부발 철도 사업은 1999년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처음 반영된 이후, 여러 차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며 논의돼 온 장기 과제다.
노선은 평택역에서 안성, 용인을 거쳐 이천 부발역까지 59.4㎞가 신설되며, 향후 포승~평택선에서 ‘평택~부발선’, 여주~원주선과 원주~강릉선까지 연결될 예정이다.
특히 평택~부발 철도 개통 시 평택에서 강릉까지의 이동 시간이 기존 3시간에서 약 1시간 20분으로 대폭 단축돼 수도권 남부와 강원 동해안 간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또한 이 철도 노선은 수도권 동서 간 간선망 구축의 공백을 메우고, 수도권 남부와 충청, 강원권을 직접 연결하는 국가 균형발전 및 K-반도체 벨트를 완성하는 핵심 철도 노선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SOC 분과위원회는 사업의 최종 적정성을 검토하는 핵심 절차다. 지역 숙원사업인 만큼 경기도 및 관련 4개 지역 자치단체장이 직접 참석해 철도망 구축의 중요성을 한목소리로 공동 건의했다.
위원회에 참석한 정장선 평택시장은 “평택~부발 철도는 단순한 교통망이 아니라 대한민국 동서를 혁신적으로 잇는 국가 물류 대동맥이자 초광역 경제권을 실현하는 관문”이라며 “이 사업이 통과되면 포승~평택 철도와 연계한 평택항을 거점으로 하는 동서 간 수출입 물류 체계가 획기적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 시장은 평택~부발 철도가 ‘베이밸리 메가시티’ 구축의 핵심 축임을 강조했다. 베이밸리 메가시티는 경기 남부와 충남 북부 10개 시·군, 약 440만 인구를 하나의 산업·물류·생활권으로 통합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평택~부발 철도는 이를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핵심 교통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평택은 경부선, SRT, 서해선, 포승평택선, GTX-A·C, 수원발 KTX 직결, 서해선 KTX 연결 등 이미 철도 교통의 허브가 될 기반을 갖추고 있다”며 “평택~부발 철도는 이를 완성하는 마지막 퍼즐”이라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번 분과위원회에서 논의된 사업성, 정책성, 지역 균형발전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6~7월 중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6-25
-
-
평택 안중읍 금곡리 자원순환시설 “취소 절차 들어가”
-
-
시 “감사원 감사 결과 따라 ‘폐기물 보관시설’인 가설건축물 신고 수리 취소”
주민·시민단체 “가설건축물 취소 및 본 건축물 증축 건축허가도 취소해야”
▲ 지난 5월 8일 평택시청 현관 앞에서 집회를 하고 있는 주민들과 시민단체 관계자들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안중읍 금곡리에서 추진되던 자원순환시설 사업이 사실상 취소 절차에 들어갔다고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금곡리에서 자원순환시설 사업을 추진하던 A업체는 폐기물처리업을 위한 필수 시설인 ‘폐기물 보관시설’을 가설건축물 형태로 계획해 관련 신고까지 마쳤으며,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폐기물처리업 사업계획서를 평택시에 제출해 ‘적정’ 통보를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올해 감사원 감사에서는 평택시가 해당 가설건축물의 신고를 수리한 것은 법령 해석상 잘못이 있다고 지적했다.
신고 수리 당시 평택시는 이미 허가받은 폐기물처리업체가 증축 등의 건축행위를 할 경우에는 「국토계획법」 제56조 제1항 등 ‘개발행위 허가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법 해석을 했지만, 감사원에서는 이번에 문제가 된 가설건축물의 경우에도 해당 허가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단, 금곡리 건 이외에도 해당 허가 기준을 적용하지 않은 사례가 22건 있었던 만큼 일각에서 제기한 특혜 의혹에 대한 감사원 지적 사항은 없었다.
평택시는 감사 결과가 나온 직후부터 마을 이장 및 단체 등에게 가설건축물 취소 절차 등 후속 조치에 대해 설명해 왔으며, 가설건축물 취소를 위한 청문절차를 밟아왔다고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8일 감사원이 지적한 기준을 적용해 A업체의 가설건축물 축조 신고 수리를 취소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신고 수리 취소로 A업체가 폐기물처리업의 필수 시설인 ‘폐기물 보관시설’을 확보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시는 사업계획서 보완을 A업체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시는 A업체가 폐기물 보관 장소를 확보하지 못하면 기존에 ‘적정’으로 통보한 사업계획서도 취소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폐기물 보관 장소 없이 직접 투입 방식으로 공정을 변경해 사업계획서를 보완하면 사업이 가능한 것 아니냐는 주민들의 우려가 있지만, 시 관계자는 “폐기물관리법상 보관 장소는 필수 시설이기 때문에 폐기물 보관 장소가 확보되지 않으면 해당 사업은 영위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평택시 관계자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평택시 도시계획 조례의 자원순환시설 입지 제한 규정을 명확히 하고, 개발행위 기준의 적용 대상과 절차를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금곡리폐기물처리시설반대비대위, 안중발전협의회, 안중청년동행산악회, 평택시민재단은 23일 평택시가 발표한 ‘금곡리 자원순환시설 사실상 취소 수순’ 보도자료에 대한 입장문을 통해 “평택시는 감사 결과대로 금곡리 폐기물처리시설 가설건축물 취소뿐만 아니라 본 건축물 증축 건축허가까지 취소하여 잘못된 허가를 제대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책위는 7월 15일부터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평택시청에서 무기한 투쟁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