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음운전 8월이 가장 위험… 졸릴 때는 쉬어 가야
최근 5년간 졸음운전 사망자 252명… 일반 사고보다 치사율 높아
<제공=대한산업안전협회>
최근 5년간(2020~2024년) 졸음운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8월에 졸음운전 사망자가 제일 많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졸음운전 교통사고는 9,559건, 사망자는 252명이다. 이 중 8월에 발생한 사망자는 36명(14.3%)으로 월별 최다 수준이다.
졸음운전은 일반 사고보다 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인 치사율이 높은 특징이 있는데, 8월은 4.13명으로 월별 치사율도 가장 높다.
8월 졸음운전 치사율을 도로 종류별로 분석하면 ▶고속국도 10.81명 ▶일반국도 6.55명 ▶지방도 4.04명 ▶특별·광역시도 0.86명 수준으로, 속도가 높은 도로일수록 치사율이 높아 고속주행 시에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8월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사고 가해운전자(34명)의 연령대는 ▶60~69세 10명(29.4%) ▶30~39세 7명(20.6%) 순이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운전자는 11명(32.4%)으로 체력이 저하된 고령운전자가 졸음운전에서도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는 출발 전 충분한 수면이 필수적이며, 특히 도로 형태가 단조로운 구간은 졸음운전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운전자가 졸음을 인지하면 차를 안전한 곳에 세우고 중간휴식이 필요하다.
또한 동승자 없이 단독 운전하는 경우에는 졸음이 더 쉽게 찾아올 수 있다. 이런 경우, 노래를 듣거나 주기적인 환기, 적절한 카페인 음료 섭취는 졸음운전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 동승자가 탑승한 경우 운전자와 가벼운 대화는 졸음운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경찰청 한창훈 생활안전국장은 “8월은 고온다습하고 휴가철 장거리 운전으로 졸음운전이 우려된다”며 “운전자는 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 졸음운전 예방 안전 수칙을 사전에 숙지하고 도로 위 교통안전을 준수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근혁 기자 ptlnews@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