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장선 평택시장은 지난 12월 17일 ‘경제 안정 종합대책 방안’을 발표하고,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평택시의 역량을 총집중하겠다”고 밝혔지만 경기도의회에 요청해 받은 지역화폐 예산을 분석해보면 평택시의 적극적 의지를 체감하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 지역화폐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며 12월 추경에서 증액도 했지만 ‘언발에 오줌누기’ 수준에 지나지 않고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다.
경기도 지자체별 2024년도 지역화폐 지원 내역을 보면 평택시는 50억3천만 원의 시비를 사용했는데 이는 경기도 지자체 중 11위 수준이며, 50만 이상 대도시와 비교하면 하위권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평택시의 2025년 지역화폐 지원 예산은 더 떨어지고 있는데 25억1천5백만 원의 예산은 경기도 지자체 중 15위이며, 50만 이상 대도시와 비교하면 꼴찌 수준이다. 정장선 시장의 지역경제 살리기 의지 부족이 아쉽다.
현재 평택지역의 소상공인들과 시민들은 민생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침체된 경제 상황에서 발생한 불법 비상계엄 사태는 우리 사회에 큰 충격과 정치적·사회적 혼란으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민생 경제를 살리기 위한 평택시의 적극적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역화폐 정책은 그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는 충분히 입증되었으며, 지역주민들과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주고 있다. 지역화폐는 단순한 소비를 촉진시키는 정도를 넘어, 지역 경제의 자생력을 키우는 그물망을 만들고 저수지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경제적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평택시는 소비 촉진 효과와 골목상권 활성화를 지속시키기 위한 지역화폐 예산 확대 및 골목 상권 회복을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숨 쉴 수 있도록 정장선 시장은 생색내기, 보여주기 정책이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맞춤형 지원정책을 구체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도 경제가 어려울수록 재정 지원이 꼭 필요한 곳, 경기 부양에 확실한 효과가 있는 곳에 평택시가 재정을 투입할 수 있도록 견인해 내면서 구체적 방안 마련에 힘을 모아야 한다. 평택시와 국·도·시의회가 소상공인들과 시민들을 위해 나서야 할 차례다.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골목상권 살리기 캠페인’이 추진되어 지속되는 경제한파로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숨통이 터지길 희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