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조선후기 양성현 구룡동면... 1914년 현촌, 양성군 도일면 신흥 통합

 

평택시사.png

▲ 택지개발로 사라진 용이동 현촌마을(2008)

 

◆ 용이동(龍耳洞)


조선후기 양성현 구룡동면 지역이었다. 백운산에서 뻗어 내린 산맥이 두 갈래로 나뉘는데 동쪽은 용머리 형상으로 안성군 공도면 용두리를 이루고, 서쪽은 용(龍)의 귀(耳) 언저리에 해당된다고 해서 용이(龍耳)라고 했다. 1914년 현촌과 양성군 도일면의 신흥을 통합해 용이리라고 했다. 1983년 평택군 평택읍에 편입됐다.


1. 구룡동(九龍洞): 백운산으로부터 산맥이 동남향으로 뻗어내려 느름골·배오개골·신선골·오른가리골·미나올골·옥골·소사물골·자바사리골 등 아홉 골짜기를 도는데 아홉 마리의 용이 용트림을 하는 형국이라 해서 유래됐다. 조선후기 양성현 구룡동면의 중심마을이다.

 

2. 현촌(玄村): 본래 달성 서씨가 거주해 서촌이라고 하다가 연주 현씨가 대성(大姓)을 이루면서 현촌으로 바뀌었다. 2012년 용죽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폐동됐다.

 

3. 신흥(新興): 조선후기 양성현 도일면에 속했다. 본래는 마을 남동쪽 쑥밧갓(평안교회 일대)에 마을이 있었지만 도둑이 많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한다.

 

4. 왕자봉(방): 구룡동 뒤쪽의 산봉우리. 옛날 왕이 지나가다가 쉬어갔다고 해서 유래됐다.

 

5. 신흥리고개: 고룽동에서 신흥마을로 넘어가는 고개.

 

6. 오룡굴: 현촌 동쪽의 골짜기. 오룡가리라고도 했다.

 

7. 선가자리: 배다리저수지 위쪽으로 옛날 배가 들어왔던 나루터.

 

8. 배오개: 신흥마을 서북쪽에 길게 형성된 골짜기. <참고문헌: 평택시사(평택시사편찬위원회 펴냄)> 


※ 다음호(646호)에서는 ‘평택시 죽백동(竹柏洞)’ 지명 유래가 이어집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1103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택시史로 보는 ‘평택시 용이동’ 지명 유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