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세상사는 이야기 증명사진.jpg
조하식 수필가·시조시인

눈앞에 펼쳐진 다문화 상황에 대한 확실한 진단과 더불어 사랑받는 교회론의 관점에서 실현 가능한 목회 패러다임 전환에 대하여 생각해봅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사회가 맞닥뜨린 대내외적 다문화 상황은 지구촌에 도래한 기후변화만큼이나 급진적입니다. 온난화의 속도를 생태계가 미처 따라가지 못하는 것처럼 밀려드는 다양한 인종을 발 빠르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양상입니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어떻게 대처해야 하고 효과적인 전도 전략을 짜야 할까요? 이는 세계 각국에 적극적으로 선교사를 파송하는 문제와 맞물려 오늘날 한국교회를 향해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고 이어령 박사가 조합한 이른바 글로컬리즘(glocalism)은 보편성(globalism)과 특수성(localism)을 합성하고 있다는 면에서 ‘선교적 교회론’을 재정립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신현수 교수의 말처럼 “선교적 교회란 단순히 ‘지역교회가 선교를 하지 않고 있다’거나 혹은 ‘선교사역의 비중이 작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적인 구조가 ‘선교지향적’ 혹은 ‘선교중심적’으로서의 교회를 추구”한다는 것을 가리킵니다. 세계화와 더불어 지역화의 과제가 무겁다는 반증입니다.


그에 따라 실현 가능한 목회 패러다임으로는 먼저 우리 사회에 아직도 뿌리 깊게 남아 있는 단일민족이라는 잘못된 인식부터 바로잡아야 합니다. 이른바 ‘뷔페 이론’(salad bowl model)에 의해 여러 민족이 형성하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선교학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하지만 문화다원주의는 종교다원주의와는 전혀 차원이 다릅니다.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피조물이라면 국적을 가리지 않고 동일선상에서 그 창조적 가치와 의미를 존중해야 합니다. 마땅히 천부적 인권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하자는 취지입니다.

 

세상사는 이야기.JPG

▲ 충북 진천과 맞닿아 있는 안성 배티성지

 

노영상 교수는 ‘문화상호교류주의 이론’(inter-culturalism model)을 내세워 다양성 속의 일치를 견지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따라서 2006년 5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문화 민주적 통합으로 한국을 문화용해의 장’(cultural melting pot)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의 다문화가정 교육지원 대책은 자칫 ‘한국 기독교인 만들기’ 또는 ‘한국 기독교 선교사 만들기’의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별히 경계해야 합니다. 필자 역시 당국의 근시안적인 정책에는 오히려 다중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만한 소지가 다분하다고 진단합니다.


다만 다문화주의의 공존을 가장한 기독교 선교의 전방위적 방해 활동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인간의 영혼 구원에 이바지하지 못하는 종교나 교리는 사탄의 교묘한 문화적 침투전략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늘 표피적으로 제기되는 종교 편향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러한 측면에서 목회현장에서 부딪히는 다문화가족들을 위한 개교회의 구체적인 목회사역 매뉴얼(지침)의 개발이 시급합니다. 이것이야말로 선도적 교회들이 나서서 후발 주자를 이끄는 리더십이 절실한 부분입니다. 헌신을 전제한 본보기가 관건입니다.


사안을 좀 더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합니다. “복음과 문화 네트워크”에서 이해하는 선교적 교회는, 첫째 교차문화 상황에 존재하며, 둘째 그것의 상황과 함께 대화 속으로 들어가서, 셋째 그 구성원들에게 성경적 관점으로부터 문화를 생각하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넷째 그 자체의 회심을 위해 기도하고 변화를 추구하면서, 다섯째 그 자신이 발견한 주변부로의 위치를 받아들인 뒤, 여섯째 그 자신이 속한 상황과 문화 안에서 증인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물론 선교의 본질적 성격상 접근이 쉽지는 않습니다.


구더(Darrell L. Guder)가 정리한 ‘선교적 교회론’은 적잖은 참고가 될 것입니다. 성경적으로는 교회에 관한 것은 철저히 성경에 근거해야 하고, 역사적으로는 우리의 교회론이 다른 교회론들의 역사적 발전을 고려해야 하며, 상황적으로는 복음은 항상 한 문화 안에서 번역되고 영적으로 위임된 것에 대한 문화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 나감으로써, 종말론적으로 교회가 하나님이 약속하신 만물의 완성을 향하여 움직이고 있음을 믿기에, 실행적 측면에서의 그것은 실천으로 변형되어야 한다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프로필


- 고교생에게 국어와 문학을 가르치며 수필집·시조집·기행집 등을 펴냈습니다.

- 평택에서 기고 활동과 기독교 철학박사(Ph.D.) 과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블로그 “조하식의 즐거운 집” http://blog.naver.com/johash 꾸립니다.

- <평택자치신문>에 “세상사는 이야기”를 13년째 연재하는 중입니다.


※ 다음호(648호)에는 ‘다양한 교회의 필요성 - 소수인격을 보호하는 길’이 이어집니다. 


태그

전체댓글 0

  • 7697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세상사는 이야기] 다양한 교회의 필요성 ‘급변하는 다문화 상황론’ (1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