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보기
-
-
평택시, 인구 50만 이상 기초 시·군 중 출생아 증가율 1위
-
-
◆ 2024년 4,110명 출생… 남아 2,086명, 여아 2,024명
평택시(시장 정장선)가 인구 50만 이상 기초 시·군 가운데 2024년도 한 해 출생아 증가율이 가장 높은 도시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인구 50만 이상 기초 시·군 중에서 지난해 평택시 출생아 수는 2023년보다 10.8% 증가한 4,110명(남아 2,086명, 여아 2,024명)으로 집계됐으며, ▶경기 수원시 9.0% ▶경기 화성시 7.4% ▶경기 안양시 6.7% ▶경기 파주시 5.1% ▶경기 용인시 4.8% ▶경기 성남시 4.5% ▶경기 남양주시 3.2% ▶경기 시흥시 2.7% ▶경기 고양시 2.7% ▶경남 창원시 0.8% ▶충북 청주시 0.8%이고, 전국적으로는 3.1%의 출생아 증가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평택시 출생등록 현황을 보면 고덕동이 708명(남아 375명, 여아 333명)으로 가장 높은 출생아 수 등록을 보였으며, ▶동삭동 564명(남아 298명, 여아 266명) ▶비전2동 398명(197명, 201명) ▶세교동 346명(166명, 180명) ▶비전1동 309명(145명, 164명) ▶송탄동 277명(134명, 143명) ▶안중읍 187명(101명, 86명) ▶용이동 153명(82명, 71명) ▶중앙동 146명(74명, 72명) ▶청북읍 128명(67명, 61명) ▶팽성읍 113명(53명, 60명) ▶서정동 111명(54명, 57명) ▶포승읍 103명(53명, 50명) ▶고덕면 102명(53명, 49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원평동 96명(45명, 51명) ▶송북동 96명(48명, 48명) ▶신평동 75명(43명, 32명) ▶신장1동 59명(33명, 26명) ▶지산동 36명(12명, 24명) ▶진위면 32명(17명, 15명) ▶통복동 22명(12명, 10명) ▶현덕면 21명(8명, 13명) ▶오성면 12명(6명, 6명) ▶신장2동 12명(8명, 4명) ▶서탄면 4명(2명, 2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를 지역별로 합산하면 1개월에 342.5명이 출생했다.
평택시의 높은 출생아 증가율은 그동안 취업자 수 증가, 젊은 층 유입, 주택 보급률 증가, 높은 혼인율 등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평택시 취업자 수는 2013년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평균연령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국(45.3세)과 경기도(43.6세)보다 낮은 41.9세를 기록했다. 특히 평택시 고덕동의 경우에는 평균연령이 33.1세로,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1,158개 읍·면·동 가운데 가장 젊은 도시이며, 실제 고덕동의 0~9세 인구 비율은 20% 초반에 달하고 있다.
또한 최근 6년 동안(2018~2023년) 주택 수가 전국 기초지자체 중 두 번째로 많이 증가했으며, 2019년 평택시가 대도시로 진입한 이후에는 인구 50만 이상 시·군·구 중 가장 높은 조혼인율을 매년 기록하고 있다.
◆ 평택시 인구 64만4,499명… 30년간 감소 없이 꾸준하게 증가
취업자와 젊은 층 유입, 주택 보급, 혼인율 영향 “임신·출산 인센티브 시책 좀 더 확대해야”
현재 평택시 행정구역은 25개 읍·면·동(4읍, 5면, 16동)이며, 3개 시·군 통합 당시인 1995년 인구 32만 명에서 통합 24년 만인 2019년 4월에 50만 명을 넘어서면서 경기도 31개 시·군 중 수원, 용인, 성남, 화성, 부천, 안산시에 이어 7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가 됐다.
2024년 12월 말 기준 평택시 총인구수는 외국인 포함 64만4,499명(남 308,294명, 여 278,799명)이며, 외국인 4만5,943명(등록외국인 3만2,489명,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신고자 1만3,454명)을 제외한 주민등록 인구는 59만8,556명(남 31만4,231명, 여 28만4,325명)이다.
특히 1995년 평택군·평택시·송탄시 3개 시·군 통합 이후 평택시 인구는 2024년 12월까지 약 30년간 감소 없이 꾸준하게 증가해 왔으며, 기초지자체의 월별 주민등록인구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1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약 170여 개월 동안 매달 인구가 증가한 기초지자체는 전국에서 평택시가 유일하다. 현재도 파급 효과가 큰 경제 정책과 대규모 도시 개발이 진행되는 상황인 만큼 인구 증가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평택시 인구를 권역별로 살펴보면 남부 권역에는 ▶비전2동 56,637명 ▶비전1동 50,881명 ▶동삭동 42,252명 ▶세교동 37,428명 ▶팽성읍 27,548명 ▶용이동 25,758명 ▶신평동 19,868명 ▶원평동 12,967명 ▶통복동 5,272명으로 총 27만8,61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북부 권역에는 ▶고덕동 52,985명 ▶중앙동 42,765명 ▶서정동 24,958명 ▶송탄동 23,498명 ▶송북동 20,759명 ▶고덕면 12,805명 ▶지산동 12,312명 ▶진위면 10,725명 ▶신장1동 6,757명 ▶신장2동 4,910명 ▶서탄면 3,445명 등 총 21만5,919명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서부 권역에는 ▶안중읍 43,321명 ▶청북읍 25,988명 ▶포승읍 22,758명 ▶오성면 6,236명 ▶현덕면 5,723명 등 10만4,026명이 거주하고 있다.
정장선 시장은 “반도체 등 미래산업 활성화로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고, 고덕국제신도시와 평택지제역 인근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이 활발히 이루어져 젊은 층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의 혼인율이 높게 유지되고 있고, 이는 다시 많은 출산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평택에서는 반도체, 수소, 미래차 중심으로 미래산업이 육성되고, 조성 중인 브레인시티와 화양지구 등 신도시에 입주가 시작되면 인구, 혼인, 출산이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평택을 선택하고 이곳에서 태어난 시민 모두가 행복하고 정주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시는 ‘모유수유, 출산, 양육, 태교’ 등 4개 영역 전문가를 초빙해 임신·출산 교육을 매년 실시해 임산부들의 출산과 양육을 돕고 있으며,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2023년 7월부터 ▶첫째아 50만 원 ▶둘째아 120만 원 ▶셋째아 300만 원 ▶넷째아 이상 500만 원으로 출산지원금을 확대한 바 있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1-15
-
-
평택시 미분양 주택 ‘2,609→2,497가구’… “감소세”
-
-
<제공 = 국토교통부>
평택시 미분양 가구가 2025년 새해 들어서도 소폭이지만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평택시 아파트 미분양 가구는 지난해 1월 361가구, 2월 1,647가구, 3월 2,360가구, 4월 2,641가구, 5월 2,473가구, 6월 3,289가구, 7월 3,632가구, 8월 3,159가구, 9월 2,847가구, 10월 2,609가구, 11월 2,497가구로 집계되어 6월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연말로 접어들면서 감소세를 보였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2월 31일 발표한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11월 기준 평택시 미분양 가구는 2,497가구로 집계되어 지난달보다 112가구가 감소했으나, 전국 지자체 가운데 포항시(2,830가구)에 이어 미분양 가구 전국 2위 및 경기도내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경기도 11월 미분양 가구는 총 10,521가구로 전월 대비 750가구가 증가했으며, 평택시 2,497가구를 비롯해 ▶이천시 1,600가구 ▶오산시 1,360가구 ▶양주시 726가구 ▶안성시 625가구 ▶의정부시 559가구 ▶용인시 516가구 ▶광주시 458가구 ▶남양주시 346가구 ▶수원시 300가구 ▶김포시 265가구 ▶부천시 213가구 ▶고양시 211가구 ▶화성시 210가구 ▶양평군 151가구 ▶동두천시 136가구 ▶포천시 123가구 ▶성남시 63가구 ▶안양시 61가구 ▶연천군 41가구 ▶시흥시 29가구 ▶가평군 22가구 ▶여주시 6가구 ▶하남시 2가구 ▶파주시 1가구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30일 기준, 2025년 평택시 입주(준공) 예정 아파트는 ▶현덕면 화양지구2-1BL(2025년 8월, 1,063가구) ▶현덕면 화양지구 4BL(2025년 8월, 916가구) ▶현덕면 화양지구 7-2BL(2025년 8월, 995가구) ▶현덕면-단지 요청에 의한 미공개(2025년 8월, 753가구) ▶현덕면 화양지구 5BL(2025년 8월, 1,571가구) 등 5,298가구이다.
1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65,146가구로, 전월(65,836가구) 대비 1.0%(690가구) 감소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4,494가구로 전월(13,948가구) 대비 3.9%(546가구) 증가했으며, 지방은 50,652가구로 전월(51,888가구) 대비 2.4%(1,236가구) 감소했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교통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 및 씨:리얼(seereal.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1-15
-
-
2025년도 새해 초·중·고등학교 교육 방향은?
-
-
교육부는 지난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교육부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오는 3월부터 모든 고등학교(1학년)에 고교학점제를 전면 도입하고, 고교 내신 체제를 9등급에서 5등급으로 개편한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교실환경을 조성해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며, 늘봄학교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까지로 확대하고,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도 기존 8구간 이하에서 9구간 이하로 확대한다.
◆ 유아교육비·보육료 추가지원금 5만 원… 5세→4세까지
지난해 5세를 대상으로 지원하던 유아교육비·보육료 추가지원금(월 5만 원)을 올해에는 4세까지 확대한다.
또한 초등학교 정규수업 외에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해 양질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늘봄학교의 지원 대상도 기존 초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까지로 확대한다.
이에 인력·공간·프로그램을 충분히 확보해 학생들에게 안전한 환경에서 질 높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며, 특히 교육청·지자체·지역대학 간 협력을 통해 학생·학부모가 희망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제공을 확대할 계획이다.
◆ 고교학점제 도입… 진로·적성에 따라 필요 과목 선택하면 돼
오는 3월부터 고교학점제를 도입함에 따라 학생들은 각자 진로·적성에 따라 필요한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게 된다.
아울러 지역·학교 여건과 관계없이 다양한 과목 이수가 가능하도록 공동교육과정, 온라인학교, 학교 밖 교육 등의 지원을 강화하고, 진로·학업 설계 지도 확대 등 책임교육을 실현한다.
교육부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함께 고교 내신 체제를 기존의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개편해 학생 간 과잉 경쟁을 해소할 방침이다.
◆ 초등생 중심이었던 이주배경학생 지원 범위 ‘중·고교, 영유아, 학부모’까지 확대
이주배경학생, 장애학생, 저소득층 학생 등에 대한 두터운 지원을 제공한다. 이에 이주배경학생의 한국어 역량, 체류 자격 등의 특성을 반영한 조기적응·진로진학·취업 등 맞춤형 교육지원을 강화한다.
그동안 초등학생 중심이었던 이주배경학생에 대한 지원 범위도 중·고교, 영유아, 학부모까지 범위를 확대한다.
또한 장애학생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장애아 전문·통합 어린이집을 1,876곳에서 1,956곳으로 확충하고, 저소득층 대상으로는 교육급여를 전년 대비 5% 인상해 저소득층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한다.
이외에도 ‘제5차 학교폭력 기본계획(2025~2029)’을 수립해 현장의 학교폭력 대응력을 강화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학부모 교육을 제공해 학교와 학부모가 함께 발맞춰 학생의 성장·발달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 대폭 확대 및 저소득층 대학생 주거안정장학금 신설
국가장학금 등 지원 대상을 대폭 확대해 학비 부담을 경감하고, 근로장학금 수혜 인원을 14만 명에서 20만 명으로 확대하는 등 청년들을 지원한다.
특히 저소득층 대학생의 주거 안정 지원을 위해 연 최대 240만 원을 지원하는 주거안정장학금이 신설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을 목표로 정책들을 착실히 이행해 교육이 기회의 사다리가 되도록 하고 국민 생활 안정에도 온 힘을 쏟겠다”면서 “학생, 선생님, 학부모님들이 교육 현장의 긍정적 변화를 더욱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1-15
-
-
농식품부, 설 성수품 역대 최대 16만8천톤 공급
-
-
<제공=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는 설 성수품 일일 공급량을 평시 대비 1.6배 수준으로 확대해 7일부터 27일까지 역대 최고 물량인 16만8,000톤을 공급하기로 했다.
할인 지원도 역대 최대 수준인 총액 600억 원 규모로 늘려 대형·중소형마트에서 28개 품목에 대해 최대 40% 할인하고 전통시장에서는 모든 품목을 30% 할인한다.
농식품부는 9일 장바구니 부담을 완화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설 성수품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먼저, 성수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역대 최고 수준인 16만8,000톤(평시 대비 1.6배)을 공급한다. 농산물은 농협 계약재배 물량, 정부 비축 물량, 사과 지정출하물량을 수급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공급하고, 공급이 부족한 배 수요를 대체하기 위해 수입과일 할당관세 도입기간도 연장·운영한다.
축산물은 공급 물량 확보를 위해 설 대책기간 중 도축장을 주말에도 운영하고, 양계농협 등 생산자단체가 보유한 물량을 활용해 공급량을 늘릴 계획이다.
또한 소비자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해 역대 최대 수준인 600억 원을 할인지원 사업에 투입한다. 소비자는 대형·중소형마트에서 성수품(배 제외) 및 설 수요가 증가하는 28개 품목에 대해 최대 4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전통시장에서는 모바일 상품권 할인과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통해 품목과 관계없이 3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하고 실속 있는 선물세트 공급을 확대한다. 공급 가능 물량이 충분한 한우는 10만 원 이하 선물세트를 지난해보다 12.5% 늘려 129톤을 공급하고, 사과·만감류(천혜향 등)·포도(샤인머스캣) 등으로 구성된 실속형 과일 선물세트 10만 상자를 공급한다.
송미령 장관은 “설을 맞아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덜어드릴 수 있도록 정부의 역량을 총동원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홍영지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1-15
-
-
신장동 상가주택 화재… 90대 여성 무사히 구조
-
-
▲ 신장동 상가주택 화재 현장을 수색하는 소방관들 <제공=경기도소방재난본부>
지난 10일 오전 5시 30분경 평택시 신장동에 소재한 상가주택 1층 옷가게에서 화재가 발생해 약 22분 뒤인 5시 48분 진화됐다.
상가 2층 주택에 거주하던 A씨가 연기가 올라온다는 것을 목격하고 소방서에 화재를 신고했으며, 출동한 소방당국은 건물 2층에 90대 여성이 고립돼 있다는 신고에 따라 오전 5시 31분경 대응1단계(3~7개 소방서에서 31~50대의 장비를 동원하는 경보령)를 발령했다.
화재 당시 2층에 고립돼 있던 90대 여성은 구조됐으며, 다른 거주자인 60대 남성도 자력으로 대피해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한편 이날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인원 72명과 장비 24대가 동원됐으며, 현재 경찰과 소방 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1-15
-
-
경기도 특사경, 도민 위한 5대 민생·특정범죄 집중 수사
-
-
경기도는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를 목표로 ‘2025년도 특별사법경찰단 수사계획’을 수립하고 연중 수사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올해는 식품 제조·판매 불법행위 등 도민 생활과 밀접한 5대 민생범죄와 함께 불법대부 등 특정범죄를 집중 수사한다.
서민 일상을 침해하는 5대 민생범죄 분야는 ▶환경오염(폐기물·오폐수·미세먼지, 폐의류 및 폐원단 불법처리 등) ▶생명존중(의약품·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등) ▶먹거리 안전(식품 제조·판매 불법행위, 체험마을 불법행위, 현장식당 및 한식뷔페 불법행위 등) ▶자연보호(산림·개발제한구역 불법행위, 계곡·하천 등 휴양지 내 불법행위 등) ▶생활안전(불법숙박업, 미신고 미용업 등) 등이다.
특정범죄 분야는 ▶불법 대부업과 상표권 침해 행위 등 경제범죄 ▶청소년 대상 범죄(청소년에게 주류나 전자담배 등 유해약물 판매 등) ▶복지범죄(사회복지시설 보조금 횡령 및 목적 외 사용) ▶동물보호(도살 등 동물학대, 영업허가·등록 위반)를 수사하게 된다.
앞서 특사경은 서민의 삶을 파괴하는 불법대부업 척결을 선포하며 2025년 법정이자율 초과 수취와 미등록 대부(광고) 행위에 대해 고강도 집중수사 실시를 예고한 바 있다.
특사경 관계자는 “특사경 수사 분야 안내, 수사계획과 수사 결과의 상시 홍보, 수사 내용 홍보 영상 제작 등을 통해 동종·유사범죄 사전 예방과 범죄 경각심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이도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장은 “충분한 사전 계도와 홍보에도 불구하고 적발되는 불법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벌하겠다. 도민 여러분께서도 불법행위를 목격할 경우 적극 제보해달라”고 당부했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누리집(www.gg.go.kr/gg_special_cop), 경기도 콜센터(☎ 031-120), 카카오톡 채널(특별사법경찰단) 등으로 불법행위 도민 제보를 받고 있다.
한편 도 특사경은 지난해 31개 직무 분야에서 총 711건의 불법행위를 검찰 송치하는 성과를 거뒀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1-15
-
-
평택시, 2025 설 맞이 농·특산물 직거래장터 개장
-
-
평택시는 민족 최대의 명절 설날을 맞이하여 평택 지역에서 직접 생산한 안전하고 신선한 농·특산물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직거래장터를 개장한다.
이번 직거래장터는 ▶서부권역(안중실내체육관) 1월 22일(수) 오전 10시~오후 4시 ▶남부권역(시청 앞 광장) 1월 23일(목) 오전 10시~오후 4시 ▶북부권역(이충레포츠공원) 1월 24일(금) 오전 10시~오후 4시까지 열린다.
판매 품목은 한우, 한돈, 쌀, 배, 김치류, 우유, 요거트, 한과, 사과즙, 딸기, 꿀 등이며, 품목은 판매자의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설 명절 직거래장터에서는 소비자인 시민들에게 우리 지역의 질 좋은 농·특산물을 저렴하게 제공한다”며 “지역경제 활성화 및 농업인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시민 여러분들께서 직거래장터를 많이 찾아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직거래장터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농업기술센터 유통과(☎ 031-8024-3644), 송탄출장소 지역경제과(☎ 031-8024-6422), 안중출장소 지역경제과(☎ 031-8024-8372)로 문의하면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
김지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