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10-12(일)
 

HUG, 분양보증 예비 심사 및 PF 대출보증 심사 강화 통해 신규 주택 공급 제한

 

미분양관리지역.JPG

▲ 평택시 동삭·비전·용이동 아파트 밀집 지역(기사와 관련 없음)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평택시 미분양 가구 물량이 역대 최다인 6,438가구를 기록하자 4년 10개월 만에 다시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공고했다. 


앞서 평택시는 지난 2016년 9월(8월 말 기준 4,596가구)과 2018년 5월(4월 말 기준 1,080가구)에도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당시 정부는 공공택지 공급을 감축하고 신규 사업 인허가 조절 및 사업이 확정된 분양물의 집단대출 보증심사를 강화해 이른바 ‘밀어내기식’ 분양을 억제한다고 밝혔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3월 5일 발표한 제98차 미분양관리지역 선정·공고를 통해 평택시 미분양관리지역 선정 사유로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세대수가 50% 이상 증가 ▶최근 3개월간 미분양세대수가 1,000세대 이상이며 최근 3개월간 전월보다 미분양세대수 감소율이 10% 미만 ▶당월 미분양세대수가 1년간 월평균 미분양세대수의 1.5배 ▶직전 1년간 분양승인실적이 해당 지역 공동주택재고수의 5% 이상이라고 밝혔다. 


미분양관리지역에 선정되면 분양은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특히 분양보증 예비 심사를 받아야 하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보증 심사 및 요건이 강화되고, 금융권의 PF 대출에 대한 사업성 평가와 리스크관리가 강화되어 시행사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신규 주택 공급에 나서기가 어려워진다.


다만 신규 주택 추가 공급이 많은 부분 제한되는 만큼 기존에 있던 미분양 물량 해소가 다소 수월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월 28일 발표한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평택시는 미분양 주택 물량이 역대 최다였던 2016년 9월 4,261가구를 훌쩍 넘어서 올해 1월 말 기준 전국 시·군·구 가운데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았다. 


평택시 아파트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1월 361가구 ▷2월 1,647가구 ▷3월 2,360가구 ▷4월 2,641가구 ▷5월 2,473가구 ▷6월 3,289가구 ▷7월 3,632가구 ▷8월 3,159가구 ▷9월 2,847가구 ▷10월 2,609가구 ▷11월 2,497가구 ▷12월 4,071가구로 집계됐으며, 올해 들어 큰 증가세를 보이면서 역대 최고인 6,438가구를 기록했다.


특히 평택시 미분양은 지난해 1월 361가구 대비 6,438가구로 17.83배 급증했으며, 이는 경기도 전체 미분양(15,135가구) 물량의 42.53%, 전국 전체 미분양(72,624가구) 물량의 8.86%를 차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난 2월 25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미분양 관련 언론브리핑을 통해 “최근 미분양 세대수가 증가한 것은 2024년 4분기에 6개 단지에서 약 5,900세대가 한꺼번에 분양되면서 일시적인 현상이 발생했다”며 “정부에서 우려하는 준공 후 미분양(악성 미분양) 세대는 현재까지 없으며, 시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HUG가 공고한 2025년 3월 미분양관리지역에는 평택시를 비롯해 이천시, 속초시, 광양시, 경주시 등이 함께 포함됐다. 

 

김다솔 기자 ptlnews@hanmail.net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평택시 미분양 가구 역대 최다 6,438가구… 미분양관리지역 선정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