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30(화)
 

“배다리마을숲 샘물 찾는 산새들이 뭇 마을숲 생명들과 함께 아름다운 동거 계속하길”


김만제 소장.png
김만제 평택자연연구소 소장

‘큰오색딱따구리의 육아일기’, ‘동고비와 함께한 80일’, ‘까막딱따구리 숲’, ‘어여쁜 각시붕어야’, ‘마을 뒷산에 옹달샘이 있어요’ 등의 생태 그림책은 생명과학자 김성호 교수가 오랜 시간을 이어온 생생한 경험을 통해 전하는 책이다. 저자의 서평을 보면 ‘관찰한다는 것’은 “나와 새로운 세상을 만나게 해주는 힘”이며, “자세히 보고, 다가가서 눈높이를 맞추고, 오래 기다리고 오래 지켜보며, 전체 속에서 하나만 보고, 생각하며 지켜보고, 함께하는 시간이 쌓여 결국 사랑에 빠지게 된다”라며 ‘관찰한다는 것’의 의미와 소중함을 전하고 있다.


◆ 겨울에 시작한 산새 관찰


꿩으로부터 시작하여 박새, 방울새, 멧비둘기, 청딱따구리, 큰부리까마귀, 검은머리방울새,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비교적 흔한 산새로부터 상모솔새, 유리딱새, 붉은부리찌르레기에 이르기까지 저수지와 실개천을 찾는 수조류를 제외한 산책로와 마을숲에서 만날 수 있는 30여 종의 산새 중에서 절반을 넘는 16종의 새들을 지난겨울 마을숲에서 흐르는 샘물 주변에서 만났다. 

 

평택의 자연 메인.JPG

▲ 배다리마을숲 샘터 출석률이 두 번째로 높은 곤줄박이의 꼼꼼한 물 목욕(2024.2.1)

 

이미 알고 있는 박새류에서 벗어나 마을숲에서 어떤 다양한 산새들을 만날 수 있을까 반신반의하며 시작한 관찰은 지난 1월 13일 박새와 곤줄박이, 쑥새 등의 3종으로 시작해 쇠박새와 진박새, 딱새와 유리딱새, 오목눈이, 노랑턱멧새가 더해졌고, 그 뒤를 이어 되지빠귀와 노랑지빠귀, 검은머리방울새 등이 추가되었으며, 상모솔새와 직박구리, 멧비둘기, 까치까지 합세하면서 최종 16종을 대상으로 겨울산새들의 신비로운 세계에 부끄러운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큰 기대와 준비 없이 시작한 관찰이었지만 16종에 이르는 다양성과 1,212마리에 이르는 생각 하지도 못한 숫자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렇게 좁은 배다리마을숲에서 그동안 수없이 많은 동·식물들과 관계 맺음으로 이 자리까지 온 것만 해도 신기하고 놀라웠을 뿐이다. 

 

평택의 자연2.jpg

▲ 겨울 산새들에게 잘 알려진 배다리마을숲 가장자리의 샘물 주변(2024.2.5.)

 

◆ 샘물을 찾는 목적에 따른 유형별 분류


배다리마을숲 가장자리의 얕은 샘물을 중심으로 한 달여 동안은 관찰 종수를 늘려가는 기쁨을 즐기면서 알지 못했던 그들만의 독특한 행동특성을 찾아내고 이해하는 과정의 연속이었다면 경험을 쌓아가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이곳을 찾는 산새들의 유형을 간단히 구분하게 되었고, 특히 3월 8일 둥지재료를 구하기 위해 샘물 주변까지 날아온 까치 부부의 방문을 통하여 나름 샘물을 찾는 산새들을 세 유형별로 나눌 수 있게 되었다.


생존을 이어가면서 새들이 가장 좋아하는 것이 있다면 먹이와 물이다. 이 둘은 기본적인 생리와 연관성이 높아 새를 이해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 면에서 물이 얕게 흐르는 샘터는 물을 먹고 목욕하기에 적합하고 더 나가 젖은 흙 주변으로 산새들에게 호감을 줄 수 있는 먹이가 산재하여 있어 먹이터로서의 조건 또한 부족하지 않았다.

 

평택의 자연3.jpg

▲ 둥지재료로 이용될 마을숲 샘물 주변의 젖은 흙을 입하나 가득 문 까치(2024.3.8.)

 

산새들이 샘물을 찾는 첫 번째 유형은 물을 먹고 목욕을 즐기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박새류(박새, 진박새, 쇠박새, 곤줄박이)를 중심으로 상모솔새, 검은머리방울새, 직박구리, 오목눈이, 노랑지빠귀, 멧비둘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샘물을 찾는 빈도수가 제일 높은 박새와 곤줄박이의 경우 물을 먹거나 목욕을 한 후 조금의 망설임도 없이 주변 나무로 장소를 옮겨 부리를 닦거나 몸을 털고 깃고르기를 한다.


산새들은 목욕과 깃고르기를 통해 깃단장(몸단장)을 한다. 목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평균 12초일 때 천적을 피해 안전한 나뭇가지로 이동 후 차분하게 이어지는 깃고르기는 짧게는 50초에서 길게는 3분까지 시간을 할애한다. 목욕하는 것에 비해 4배에서 7배 이상까지도 공을 들이는 것은 오물이나 외부 기생충 제거 혹은 단열이나 보온 등의 체온조절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평택의 자연4.jpg

▲ 마을숲 가장자리 샘물에서 물을 먹은 후 장소를 옮긴 유리딱새 수컷(2024.2.14.)

 

산새들이 샘물을 찾는 두 번째 유형은 물을 먹기도 하지만 주된 활동이 샘물 주변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유형으로 각다귀 애벌레를 즐겨 찾는 딱새를 중심으로 유리딱새, 쑥새가 그러한 활동의 빈도수가 높았고, 노랑턱멧새 또한 물을 먹고 더러는 목욕도 하지만 샘물 주변에서 작은 무리를 지어 먹이활동에 집중하기도 한다.


세 번째 유형은 딱새나 박새류와는 먹이 습성이나 크기 면에서 너무나 큰 차이가 있는 까치가 해당된다. 샘물을 찾는 목적이 혹 물을 먹기 위함도 있지만, 이는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라는 속담처럼 둥지재료인 젖은 흙과 마른풀을 구하러 왔다가 샘물을 먹고 가는 경우로 진흙으로 미장공사를 하면서 나무의 구멍을 줄이는 동고비 같은 산새도 흙이 필요하지만 관찰기간 중에는 까치만이 유일하게 둥지재료를 목적으로 네 차례의 방문이 있었다.

 

평택의 자연5.jpg

▲ 배다리 전역에서 가장 활기차게 겨울을 나고 있는 직박구리의 물 먹기(2024.3.2.)

 

◆ 새를 꼼꼼히 본다는 것


‘새를 본다는 것’은 새들의 행동을 꼼꼼히 살펴보고 그들만의 생활 방식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그런 면에서 쌍안경이나 필드스코프 같은 관찰을 고도화하는 장비도 중요하지만, 그들 입장에서 꼼꼼히 들여다보고자 하는 마음과 볼 수 있는 타고난 감각을 지니는 것이 더 필요하다.


‘새를 본다는 것’은 자연 현상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킴은 물론이고 무엇보다도 새로운 것을 알아내는 즐거움이 전 과정을 끌어간다. 배다리마을숲 가장자리의 얕은 샘물을 통해 알고 가까워진 배다리의 산새들이 배다리마을숲의 뭇 생명들과 함께 아름다운 동거가 오래 지속되고, 그들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우리 모두에게로 와서 생명력을 더하는 꽃이 되어주길 바란다.


태그

전체댓글 0

  • 0888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만제의 평택의 자연] 겨울 산새와 함께한 60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