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6-14(금)

전체기사보기

  • 평택, 2015 한국민속예술축제 유치
    대한민국 최대 민속예술 큰 마당 잔치 평택에서 열린다! 대한민국 전통민속예술의 한마당 축제인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가 2015년 10월 1일부터 4일까지 4일간 한국소리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 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경기도·평택시가 주최하고 제56회 한국민속예술축제 추진위원회에서 주관하게 되며, 경기도에서는 2005년 포천에서 개최 한 후 10년 만이며, 평택에서는 처음으로 개최하게 된다. 한국민속예술축제는 전국에 흩어져 있는 민속예술을 발굴하고 보존하기 위해 1958년 『전국 민속예술 경연대회』로 출범한 전국 규모의 민속축제이며, 1994년부터는 청소년들의 민속예술 전승 활성화를 위해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도 함께 개최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이 축제를 통해 400여종이 넘는 민속예술을 발굴했고 130여종이 넘는 종목이 국가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우리나라 전통 민속예술의 보존·계승·발굴과 활성화를 위한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한국민속예술축제는 광역시·도 별 경연대회 예선전을 거쳐 대표팀으로 선정된 팀에게 출전 기회가 부여되는 권위 있는 경연대회이며, 전통공연예술을 민속놀이, 가면극, 농악, 민속춤, 민요 등으로 나눠 경연을 펼치게 된다. 지난 10월 2일부터 5일까지 4일 동안 강원도 정선군 아라리공원에서 열린 2014년 한국민속예술축제에는 전국 16개 시·도를 대표하는 청소년 13개팀과 일반부 20개 대표팀이 참가하였으며, 경기도 대표로 참가한 광명의 철산쇠머리디딜방아 액막이놀이가 청소년부 대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우리시의 와야골 거북놀이는 일반부 은상인 강원도지사상을 수상했다. 축제기간에는 경연뿐 아니라 개최지역인 정선의 정선아리랑을 비롯한 전통민속공연, 먹거리마당, 체험마당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통해 많은 시민 및 관광객이 함께하는 풍성한 축제를 열었다 평택시는 2015년 축제 유치를 통해 전국에 민속의 의의와 전승 상황을 일깨워주는 교육의 장 뿐만 아니라 우리시의 자원, 민속, 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상권 및 문화를 활성화하고 평택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올해 개최된 제10회 경기도청소년민속예술제에서 대상을 받은 경기물류고 평택민요(어로요)가 제22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 출전하게 되어 평택의 민속을 뽐내게 될 예정이다. 현재 평택에는 서울·인천·경기·충청·강원도 영서지방을 대표하는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제 제11-2호 웃다리평택농악과 경기민요에 속하며 노동요인 농요·어업요와 의식요인 장례요를 전승·보존하고 있는 경기도무형문화제 제48호 평택민요가 지정되어 있는 민속예술이 발달한 지역이다. 또한 평택은 예인의 고장이기도 하다.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판소리 명창으로 가왕이라 불렸던 모흥갑 명창의 고향이며, 근대 5명창 중 한분인 이동백 명창이 말년에 거주했기도 하였으며, 국악근대화의 선각자이며 시나위 명인인 지영희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이뿐 아니라 평택농악의 최은창 선생과 이돌천 선생을 비롯하여 평택민요의 이민조 선생 등 평택에는 많은 예인이 있었다. 이처럼 평택은 민속예술의 발달했던 지역으로 이번 축제가 평택에서 개최되는 것은 그 의미가 깊으며, 축제를 통해 평택의 민속예술과 예인들을 널릴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잊혀져가는 민속예술의 뿌리를 찾고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쉽게 볼 수 없는 우리의 전통민속예술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축제의 주 무대는 평택의 소리를 알리고 지속적인 계승·발전을 위해 2011년 개관한 전통문화예술 공연장인 한국소리터가 될 예정이며, 축제기간 동안 평택호를 중심으로 다양한 부대행사를 함께 개최할 계획으로 축제를 더욱 풍성하게 해줄 것이다. 공재광 평택시장은 "금년 말 평택농악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가 확실시 되고, 평택시가 2013년, 2014년 연속 경기도민속예술제 대상 수상(거북놀이, 경기물류고등학교 어로요) 등 우리시 전통문화예술의 융성시대와 축제 분위기를 시민 모두와 함께 동참하고자 유치하게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시 관계자는 "대규모 한국민속예술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다시 찾고 싶은 평택’을 만드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문화예술도시로서 평택의 위상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태호 김선우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경기도 아파트 가격 중형이상 천만원 이내
    평택시 평택동 중대형 아파트 3.3㎡당 914만 경기도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2006년 이후 처음으로 1,000만원 선 아래로 떨어졌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 시세를 기준으로 경기도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188만2,167가구의 3.3㎡당 평균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90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매매가는 998만원으로 이 업체가 2006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저 수준이다. 경기도에서 중대형 낙폭이 가장 큰 곳은 성남시·고양시로 각각 29.4% 하락, 과천시 28.9% ,고양시 29.4%, 안양시 26.7% 순으로 하락했다. 이와 반대로 평택시 중대형 아파트(전용면적 85㎡ 초과)는 소폭상승하고 있다. 평택시의 평택동의 중대형 A아파트의 경우 3.3㎡당 914만원인 것으로 집계돼 서울인근의 수도권 지역의 중대형 아파트 가격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평택 부동산 시장의 아파트 1,360여 가구의 미분량 물량이 지난 6월에서 8월 사이 물량이 급속도로 소진됐다. 올 상반기에만 평택에서 약 1만가구가 공급된 가운데 4월 분양한 ‘평택 소사벌지구 우미린’은 평균 2.01대 1, 5월 분양한 ‘소사벌지구 반도유보라 아이비파크’는 평균 1.62대 1의 청약율로 순위내 청약 마감했다. 평택은 연말까지 약 6,000가구가 분양할 예정이다. 한편, 11월 둘째주 평택시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08% 상승해 3.3㎡당 628만원으로 지역별로는 ▶평택동(914만원) ▶용이동(811만원) ▶장안동(801만원) ▶소사동(778만원) ▶서정동(759만원) ▶합정동(722만원) ▶장당동(699만원) ▶이충동(690만원) ▶군문동(696만원) ▶비전동(662만원) ▶청북면(636만원) ▶세교동(628만원) ▶팽성읍(598만원) ▶가재동(558만원) ▶칠괴동(552만원) ▶지산동(554만원) ▶통복동(545만원) ▶칠원동(542만원)▶동삭동(542만원) ▶고덕면(549만원) ▶안중읍(549만원) ▶포승읍(501만원) ▶독곡동(486만원) ▶오성면(419만원) ▶진위면(406만원) ▶신장동(365만원) ▶현덕면(275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10% 상승한 3.3㎡당 평균 418만원으로 지역별로 ▶소사동(529만원) ▶용이동(513만원) ▶군문동(503만원) ▶평택동(498만원) ▶장당동(494만원) ▶비전동(473만원) ▶세교동(466만원) ▶장안동(449만원) ▶이충동(423만원) ▶통복동(409만원) ▶합정동(407만원) ▶서정동(410만원) ▶안중읍(428만원) ▶칠원동(387만원) ▶팽성읍(386만원) ▶지산동(364만원) ▶동삭동(367만원) ▶포승읍(361만원) ▶청북면(358만원) ▶독곡동(333만원) ▶칠괴동(333만원) ▶가재동(344만원) ▶고덕면(348만원) ▶진위면(260만원) ▶오성면(221만원) ▶신장동(149만원) ▶현덕면(142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김선우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국민연금공단, 거주불명등록자 실태조사
    형편 어려운 취약계층 어르신 기초연금 수급권 찾아주기 국민연금공단 평택안성지사(지사장 유동완)는 10월 21일부터 12월 20일까지 보건복지부 및 평택시와 공동으로 거주불명등록자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태조사는 거주불명등록자 등 기초연금 혜택이 가장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하기 위한 조사로, 보건복지부 및 평택시가 주관하고 국민연금공단에서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조사한다. 국민연금공단 평택안성지사 유동완 지사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형편이 어려우신 어르신들을 발굴하여 보다 많은 어르신들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로 거주불명등록제도는 거주불명 등의 사유로 주민등록말소시 기초생활보장 지정해제, 선거권 제한 등 국민의 권리·의무행사가 제한됨에 따라, 기존의 주민등록말소 제도를 폐지하고 국민의 기본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지난 2009년 거주불명등록제도를 도입했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생활/의학
    2014-11-12
  • 학생등교시간 변경 "시내버스 시간조정"
    안중↔평택 노선 및 91번, 94번, 81번은 80번과 합류 “버스타기 힘들어요!”, “만차여서 버스를 탈수 없어요!” 금년 9월 1일 경기도교육지원청이 市, 운수회사 등과 협의 없이 학생등교시간을 변경함(8시→9시)에 따라 버스를 이용하는 학생과 출근하는 시민들이 불편사항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에서는 학생 및 시민들의 불편사항을 해소하고자 출근시간대 시내버스를 직접 탑승하여 불편사항을 파악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안중↔평택을 운행하는 시내버스 시간을 조정하여 11월 27부터 변경 운행토록 준비하고 있다. 또한, 학생등교시간 변경에 따른 등교시간 차량 만차에 대한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선노선(91번, 94번, 81번 등) 차량을 등교시간에 맞추어 간선노선(80번)과 합류되게 하여 배차간격이 좁혀질 수 있도록 시간변경을 추진하고 있다. 윤민수 대중교통과장은 "안중~평택을 운행하는 80번, 98번 등 주요노선을 중심으로 연계노선의 시내버스 운행 시간을 조정하여 운행하면 시민들의 불편이 다소 해소될 것"이라며 "시간 조정 운행 후 문제점을 보완하여 등교하는 학생과 출근하는 시민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현장행정에 중점을 두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연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평택사랑 자전거대행진' 가을을 즐기다!
    1천여명 참가 평택시청 앞→법원 경유 8km코스 대행진 평택시생활체육회와 중부일보가 주최하고 평택시가 후원한 ‘2014 평택사랑 자전거대행진’이 지난 9일(일) 오전 10시 평택시청앞 광장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공재광 시장, 원유철 의원, 유의동 국회의원, 이동화 도의원, 최호 도의원, 김철인 도의원, 김혜영 시의원 서현옥 시의원, 김수우 시의원, 이해영 평택시 생활체육회장, 임재율 중부일보 대표이사 등 내빈과 참가자 1천여명이 참가해 자전거를 이용해 평택시 가을의 정취를 만끽했다. 공재광 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2014 평택사랑 자전거대행진」을 개최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자전거 가족 여러분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환영한다"며 "이번 행사에 참여하신 시민 여러분의 건강을 증진하고 평택 발전을 앞당기는 건강한 폐달을 밟는 행복한 대회가 되시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시는 삼성전자의 고덕산단, LG전자 확장, SK건설의 평택호관광단지 개발사업 등 대기업들의 투자가 전국에서 가장 활발하고, 이와 더불어 국기원에서 2015세계태권도대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한국민속대축제를 우리시 개최를 결정함으로서 산업의 촉진은 물론 문화·체육·관광의 진흥을 통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해영 평택시 생활체육회장은 대회사에서 "자전거 타기는 시민여러분들의 건강을 증진시켜 줄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을 줄여주는 이동 수단으로 환경을 보호하는데 큰 효과를 나타내는 운동"이라며 "이번 2014 평택사랑 자전거대행진을 통해 시민 여러분들이 자전거에 좀 더 친숙해지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대행진은 평택시청앞 광장을 출발하여 문예회관 사거리→비전동 사거리→백년가약효성→법원(반환지점)을 되돌아오는 8km코스를 대행진 한 후, 축하공연, 자전거 무료점검, 건강 체험부스 운영, 심폐소생술 교육, 경품추첨 등 12시까지 다채롭게 진행됐다. 안연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생활/의학
    2014-11-12
  • 고덕신도시 분묘 보상금 가로챈 35명 실형
    수억여원 편취 일당 각각 징역 6개월~4년 선고 수원지법 평택지원 형사 1·2·3단독(재판장 판사 정회일·허양윤·이성은)은 평택 고덕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연고지가 확인되지 않은 미확인 분묘정보를 이용해 수억여원의 분묘 이전 보상금을 챙긴 일당(본지 2014년 5월 28일자 사회면 참조)들에 대해 무더기로 실형을 선고했다. 수원지검 평택지청 형사2부(부장검사 이명신)는 지난 5월 평택 고덕신도시 개발지구내 무연고 분묘 108기의 정보를 알아낸 가짜 유족들이 3억5천여만원의 분묘 이전금을 타내는 등 보상금을 챙긴 일당을 적발, 뇌물 수수 LH공사 직원, 보상금을 가로챈 브로커, 사이비 유족 등 총 36명을 기소(17명 구속) 한 바 있다. 10일 수원지법 평택지원은 개발사업 과정에서 2천700여만원의 금품과 향응을 제공 받고 미등록 분묘 81기에 대한 정보를 브로커에게 제공하고, 이를 이용해 가짜 유족들을 모집한 뒤 3억4천만원의 보상금을 받아 챙긴 혐의(뇌물 공여 및 수수 등)로 구속기소된 LH직원 김모(56)씨와 브로커 곽모(50)씨 등 35명에 대해 징역 6개월~4년의 실형을 각각 선고했다. 이날 재판부는 “개발이익에 편승해 부정한 경제적 이익을 취득하기 위해 자신과 아무런 연고가 없는 타인의 분묘를 임의로 발굴한 다음 그 유골을 화장하고 함부로 버린 범행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며 “타인의 분묘를 임의로 발굴한 다음 그 유골을 화장하고 함부로 버린 범행으로, 아직까지 매년 한식날과 추석 등에 조상의 분묘를 살피고 이를 수호하는 유교적 전통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도저히 이해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죄질이 극히 불량하며 피고인에 대한 엄한 처벌은 불가피하다”고 판시했다. 안연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김정훈챠밍복싱클럽 개원 8개월만에 '종합우승'
    전국생활복싱대회에서 무려 금메달 8개, 동메달 2개 획득 지난 11월 1일~2일 양일간 동대문구청 2층 특설링에서 열린 제4회 동대문구청장기 전국생활복싱대회에서 평택시 김정훈챠밍복싱클럽이 종합우승을 차지하면서 평택 복싱의 매서운 맛을 전국에 알렸다. 특히 유소년부에서 출전한 용이초등학교 2학년 최성준 군은 전체 대회참가자 400여명 중에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으며, '복싱신동'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김정훈챠밍복싱클럽 개원한지 8개월만에 종합우승을 일궈내 전국의 복싱관계자들을 놀라게했으며, 복싱관계자들은 김정훈챠밍복싱클럽 출전선수들의 탄탄한 기본기를 칭찬했다. 체급별로는 ▶최요한(유소년부-양진초 1학년) ▶최성준(유소년부-용이초 2학년) ▶김건아(유소년부-용머리초 2학년) ▶서해민(여성부-효명고) ▶양선희(여성부-주부) ▶조현주(20대부-선문대) ▶채문석(20대부-평택대) ▶이기원(40대부-기아자동차) 출전선수가 각각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김형민(양진중 3년) ▶이형규(양진중 3년) 선수도 동메달을 차지했다. 김정훈 관장은 "짧은 기간에 금메달을 이렇게 많이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은 기초가 튼튼했기 때문에 이루어 진거 같다"며 "특히 최우상을 수상한 최성준 어린이는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이지만 고학년 학생들이 깜짝 놀랐 정도로 '복싱신동' 소리를 이번 대회에서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김 관장은 "양선희 회원은 아이 둘을 가지고 있는 주부로서, 다이어트를 하려고 3월 초에 저희체육관에 입관하였고, 목표한대로 약 30kg을 목표한대로 감량하고 동시에 전국대회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어 뿌듯하다"며 "앞으로 선수 및 학생들을 열심히 지도해 여러 전국 복싱대회에 출전해 평택복싱의 우수함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고로 김정훈챠밍복싱클럽(평택시 용이동 467-4번지)에는 현재 200여명의 관원들이 권투 및 다이어트, 건강 운동을 위해서 땀을 흘리고 있다. 이 가운데 여성 회원들이 50%를 차지해 복싱을 통한 다이어트를 하고 있다. 한편 김정훈챠밍복싱클럽 김정훈 관장은 MBC 신인왕전에서 페더큽 참피온을 획득했다. 이후 한국 랭킹 1위에 랭크되었으며, 아마추어 선수시절 국가대표 상비군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 교육 문의: 031-656-2226)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국민연금, 알고 보면 어렵지 않아요!
    본보는 독자들과 시민 여러분들의 국민연금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국민연금공단 평택안성지사와 협조하여 문답형식의 국민연금 정보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과 시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문) 사회보장협정 체결로 인한 혜택은 무엇인가요? "해외 진출기업 및 파견근로자 등의 사회보험료 이중부담 문제 해결, 가입기간 합산을 통해 연금수급권을 확보합니다" 사회보장협정은 협정 체결국간 연금제도의 서로 다른 점을 상호 조정하여 양 체결국 국민에게 다음과 같은 혜택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먼저 이중가입이 면제됩니다. 협정 체결 전 상대국에 단기 파견된 근로자는 양국 연금제도에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지만, 협정이 체결되면 본국의 연금제도에만 가입하고 상대국 연금제도 가입은 면제되어 재정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각 국의 연금수급을 위한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하더라도 양국의 가입기간을 합산하여 국가별 최소가입기간 이상이면 연금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회보장협정이 체결된 미국의 예를 들면, 협정 체결 전에는 미국 사회보장세를 9년 동안 납부하고 국민연금 보험료를 4년 동안 납부한 경우, 양국 모두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협정 체결 이후부터는 각 납부기간에 대해 양국에서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단, 양국의 가입기간을 합산할 때 중복된 기간이 있다면 한 번만 인정됩니다. 셋째, 협정이 체결되면 연금수급권 취득이나 급여 지급 등 상대국 법령 적용에 있어서 상대국 국민과 동등한 대우를 받습니다. 넷째, 협정 체결국 간에는 연금 급여를 해외로 제한 없이 송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대국에 거주하는 경우에도 급여가 삭감되지 않고 지급될 수 있습니다. (상담전화 ☎ 1355, http://www.nps.or.kr)
    • 생활/의학
    2014-11-12
  • 경기도, 내년도 예산안 17조 8,185억 원 편성
    올해 보다 1조 8,279억 원 증가 "안전예산 대폭 증액" 경기도가 2015년도 예산안으로 올해 15조 9,906억 원 보다 1조 8,279억 원(11.4%) 늘어난 17조 8,185억 원을 편성했다. 황성태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7일 오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5년도 경기도 예산안을 발표하고 10일 경기도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5년 예산안 가운데 일반회계는 전년대비 1조 5,756억 원(12.2%) 증가한 14조 5,048억 원이며, 특별회계는 2,523억 원(8.2%) 증가한 3조 3,137억 원이다. 주요 일반회계 세입 분야를 살펴보면, 내년도 지방세 추계액은 7조 6,577억 원으로 주택거래 회복 및 지방소비세율 인상에 따라 전년대비 1조 758억 증가될 전망이다. 지방교부세와 국고보조금 등 의존재원은 복지와 광역철도, 생태하천 복원 등에 대한 국비 지원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8,464억 원이 증가한 5조 9,257억 원에 이른다. 세출예산 분야는 공무원 인건비 등 행정운영경비가 7,850억 원이며, 기타회계 전출금 등 재무활동비가 7,720억 원, 정책 사업에 12조 9,487억 원을 편성했다. 주요 정책 사업을 살펴보면 ▲시군 및 교육청 전출금 등 법정경비 4조 7,352억 원 ▲국고보조 사업 6조 6,593억 원, ▲자체사업 7,793억 원 등이다. 자체사업은 경기도가 쓸 수 있는 가용재원을 말하는 것으로 지난해 4,798억 원 보다 2,995억 원이 늘었다. 경기도는 2015년 예산의 주요 특징으로 ‘건전재정을 최우선 조건으로 하고, 남은 재정력을 북동부 경제 살리기, SOC, 안전에 집중한 기본에 충실한 탄탄한 예산’이라고 설명했다. 황성태 실장은 “그동안 지방세 감소와 복지 확대로 위축됐던 도 재정이 안정화되고 있다.”라며 “민선 6기 경기도의 첫 예산인 이번 예산안에는 ‘북동부 균형발전’과 ‘사회기반시설 강화’, ‘안전’ 등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도정운영 철학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2015년 예산안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생명을 중시하는 안전예산이 대폭 증액되었다. 재난안전 예산이 전년대비 1,123억 원 증가한 3,136억으로 대폭 확대됐다. 특히 일상생활에서의 위험요소 예방 및 관리가 중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재해위험지구 정비 192억 원, 재해위험저수지 정비 22억 원, 서민밀집위험지역 정비 44억 원 등 재해예방에 332억 원이 편성됐다. 소방 분야에서는 재난전문가 등 소방인력 충원 200여 억 원, 소방차량 및 구급장비 등 395억 원 등 1,157억 원이 반영됐다. 황성태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은 “내년도 경제성장률이 3.9%으로 회복세에 있다고는 하지만, 경기도 세수 감소 및 불안정성 위험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며 “신중한 재정운용과 민선 6기 공약사업 투자를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김장용 배추 과잉생산 '가격하락' 전망
    배추는 넘치고, 무는 부족...경기도 수급안정에 나서 본격적인 김장철을 앞두고 김장용 채소의 가격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가 김장철 무·배추 수급안정대책 추진에 나섰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의 김장용 배추·무 생산 예상량은 전국 생산량의 13% 수준인 28만 8천 톤이다. 가을 배추는 전년보다 만 톤이 증가한 20만 8천 톤이, 가을 무는 1만 2천 톤이 감소한 8만 톤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최근 배추의 경우 전국적으로 8만 1천~18만 천 톤의 과잉생산이 예상되며 무는 3만 2천 톤 정도 부족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도, 시·군, 농업기술원, 농협 등 유관기관 합동으로 11월 10일부터 12월 20일까지 김장채소 수급안정대책반을 운영하기로 했다. 먼저 도는 지난 10월 27일부터 오는 12월 7일까지 ‘경기사이버장터(kgfarm.gg.go.kr)’에서 김치, 절임배추, 양념속 등 김장재료 파격 할인판매 이벤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김장철인 11월 중순부터 12월 20일까지 농협경기지역본부와 각 시군에서 직거래장터를 개설, 김장배추와 무, 양념, 젓갈류를 저렴하게 판매할 예정이다. 또한 12월까지 시군, 농협, 민간단체와 공동으로 ‘김치 더 담그기’와 ‘사랑의 김치 나누기’ 등 김장캠페인 행사를 펼쳐 무·배추 등 김장재료 소비를 촉진할 방침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김장용 무는 수급이나 가격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김장용 배추의 작황이 좋은 대신, 소비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가격하락이 예상된다”며 “어려운 생산농가를 돕기 위해서라도 김장 한포기 더 담기 운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연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생활/의학
    2014-11-12
  • 올해 김장은 조금 늦게 담그세요!
    기상청, 경기도 11월 하순~12월 초가 김장 적기 기상청은 김장철을 맞아 김장 적정시기를 예상했다. 올해 김장하기 가장 좋은 때는 서울, 경기도 및 중부 내륙지방은 11월 하순~12월 초, 남부지방과 동해안·서해안은 12월 상순~중순, 남해안은 12월 하순 이후로 전망된다. 11월 중·하순과 12월 둘째 주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되어 김장 적정시기는 서울, 경기도 및 중부내륙지방은 평년보다 2일 정도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동해안 일부지역에서는 빨라지는 곳도 있겠다. 작년에는 전국의 12월 상순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김장 적정시기가 평년보다 5일 정도 늦어졌으며, 올해 김장 적정 시기는 평년보다는 늦지만 작년보다는 1일 정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12월 첫째 주는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조금 떨어지는 등 기온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매일 발표되는 일기예보를 참고해 김장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김장 적정시기는 일 평균기온이 4℃이하이고 일 최저기온이 0℃ 이하로 유지될 때를 적기로 보고 있으며, 이보다 기온이 높을 경우는 김치가 빨리 익게 되고 기온이 낮을 경우는 배추나 무가 얼게 되어 제 맛을 내기 어렵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생활/의학
    2014-11-12
  • 모성보호 관련, 불법·불편사항 신고하세요
    고용노동부 평택지청, 11월 10일~12월 9일까지 운영 고용노동부 평택지청(지청장 송병춘)은 2014년 모성보호 관련 불법·불편사항 신고기간을 11월 10일부터 오는 12월 9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여성고용률(15~64세)은 2012년 53.5%, 2013년 53.9%, 2014.9월 현재 55.4%에 이르는 등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여성에게 취약한 사업장 문화 및 근로관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빠의 달 도입 등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가 확충되었으나 현장에서는 제도 활용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출산전후 휴가·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여성 근로자의 고충에 비해 지방노동관서에 법 위반 사례 신고건수는 저조한 관계로 모성보호 제도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위법 및 불편사항을 종합적으로 접수·처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송병춘 지청장은 “기존의 일상적인 사업장 지도·점검 방식으로는 위반사례 적발에 한계가 있으므로 현장의 위법적 사례에 대한 정보 수집을 위해 신고기간을 운영한다”면서 “모성보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제고되어야 하며 특히 모성보호 관련 권리·의무에 대한 사업주·근로자의 인식이 크게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신고접수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평택고용노동지청 고객지원실, 직장 내 성희롱 신고 대표전화(☎ 1644-3119)를 통해 가능하다. 김선우 기자 ptlnews@hanmail.net
    • 생활/의학
    2014-11-12
  • 교통 싸이카 합동근무 "10월 223건 단속"
    경찰서 오거리, 평택역 앞, 송탄출장소 앞 등 교차로 단속 이륜차 안전모 미착용 등 교통법규위반 차량에 대한 집중 단속이 실시된다. 평택경찰서(서장 곽정기)는 매주 금요일 지방청 기순대 싸이카 6대, 평택, 화성동부, 화성서부, 안성경찰서 싸이카 8대 등 총 14대를 평택경찰서 앞 오거리, 평택역 앞, 송탄출장소 앞 등 관내 주요 교차로에 4∼5대씩 격자식으로 배치하여 합동 단속을 실시했다. 최근 오토바이로 인한 사망사고가 자주 발생해 택배, 중국집, 피자, 맥도널드 등 오토바이를 이용해 배달하는 업체를 직접 방문, 홍보과 함께 안전모 미착용 등 교통법규 위반행위를 집중 단속하여 10월 한달간 223건을 단속하였다. 시민들은 "교통혼잡 지역인 경찰서 오거리, 평택역, 송탄출장소등 주요 교차로에 싸이카 4∼5대가 격자식으로 합동 근무를 하니 차량들이 정지선을 잘 지키는 등 교통법규 준수율이 높아졌으며, 특히 오토바이 난폭운전행위가 현저하게 줄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곽정기 평택서장은 "앞으로도 권역별 싸이카 근무를 더욱더 활성화 시켜 주요 교차로에서 신호위반 등 교통무질서행위 근절과 교통사망사고 예방활동을 통해 편안하고 행복한 평택만들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세상사는 이야기] 등한라산기(登漢拏山記)
    조하식(한광고 교사, 수필가) 간추리자면, 고산지대의 서늘한 숲속에서만 자라나는데 어릴 적엔 황록색, 한창 때는 갈색, 늘그막엔 은빛으로 변하는 소나뭇과의 침엽교목. 해설을 듣자니 짐짓 앙상한 가지가 궁금했다. 다가가 유심히 살펴본즉 여느 고사목과는 달리 껍질이 퍽 고운데다 치장한 매무새가 흡사 대왕대비 같아서 절로 옷깃이 여며졌다. 돌아서며, 그 키다리 상록수를 다시금 쳐다보니 늦가을에 따낼 녹갈색 열매들이 눈앞에 선연하다. 하지만 빠른 시일에 각종 오염치를 획기적으로 줄이지 못한다면 그 우아한 자태인들 얼마나 가겠는가? 구상나무의 고고한 맵시를 완상할 날도 머지않았다고 생각하니 서글픔을 넘어 슬그머니 부아가 치민다. 상봉(上峰) 직전의 고지대. 소담스런 진달래꽃들과 더불어 주목이 어우러진 기슭을 벗어나니 어느새 산정이 빤히 올려다 뵈는 지점이었다. 역시나 우려스런 바는 출발지가 영실코스가 아니어서 오백나한(五百羅漢)이나 병풍바위를 만날 수는 없었지만 거기 또한 하루가 다르게 부식을 더해간다는 전언(傳言). 가도 가도 기기묘묘한 돌비의 행렬이요, 신묘막측(神妙莫測)한 조각품의 전시장이다. 우리 겨레의 고귀한 자산이 세계자연유산에 걸맞게 세세토록 이어지면 좋으련만……. 드디어 정상이다. 에누리 없는 해발 1,950미터. 흐르는 땀에 절어 습기 어린 시계를 보니 정오에서 불과 촌각이 모자란다. 점심때가 되어서야 목적지에 다다른 터. “아, ‘백록담(白鹿潭)’이 너로구나!” 전설에 따르면 뭇 신선이 이 연못에서 흰 사슴한테 물을 먹였다고도 하고, 그 옛날 선인들이 흰 사슴뿔로 술을 빚었다고도 하는 데서 유래한 분화구와 마주한 참이다. 어림잡아 움푹 패여 들어간 둘레가 대략 1,700여 미터, 깊이가 100여 미터에 이르는 웅덩이. 일테면 산방산을 제금내고 큼지막한 담수호로 다시 태어났건만, 안타깝게도 그 맑은 청정수는 어디다 두고 이처럼 궁상맞게 길벗을 맞는단 말이냐? 한 움큼 밑바닥에 고인 흙탕물로 도대체 무슨 명주를 빚을 요량인가 말이다. 어쨌거나 감개가 무량하다. 연약한 내 깜냥에 어찌나 고달팠는지 미처 배고픈 줄도 모르겠다. 하긴 내게 가장 시급한 일일랑 한 장의 멋진 사진. 구도를 잡으며 겹겹이 사방을 둘러싼 쌍곡선을 내려다보니 멀리 검푸른 대양과 어우러진 여럿 사화산들이 왕릉처럼 여기저기 흩어져있다. 눈앞에 펼쳐진 ‘왕관릉’과 ‘삼각봉’을 응시하며 굳이 절경이라고 감탄하기도 전 나도 모르게 장엄한 풍광에 푹 빠져들고 말았다. 그렇게 감격에 겨워 얼마큼 산정을 딛고 서있으려니 거짓말처럼 근심의 한기가 양 겨드랑이에 스리슬쩍 끼어든다. 그리던 꼭대기에 올랐으니 아쉬워도 내려가야 한다. 제아무리 힘겹다한들 오르막만한 내리막이 있을까했던 안도감은 이내 보기 좋게 빗나갔다. 아니 너덜겅에 너덜밭에 서서 잔뜩 풀죽은 구상나무를 보니 되레 더 버겁게 느껴진다. 계곡물이 바짝 말라버린 데다가 길목에 엉켜있는 잡풀들 때문에 힘겹기가 오를 때나 매한가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따가운 땡볕이 줄곧 정수리를 할퀴듯 내리쬔다. 일행을 보니 하나같이 울상들. 그나마 위안을 삼는 건 옛적 면암이 만났던 고운 수단화에 화려한 철쭉꽃의 보송보송한 몽우리들뿐이다. ‘구린굴’을 지나, 지는 해님을 등지고 얼마를 더 내려왔을까. 저만치 허름한 가옥이 어렴풋이 뵈더니만 널찍한 와상이 와락 눈동자 안으로 빨려든다.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다가가 털버덕 걸터앉는 동료들. 늦은 여섯 시를 좀 넘긴 시각에 마지막 둘이 한쪽 다리를 끌다시피 나타났다. 죽자사자, 한 발 두 발 걸음을 옮긴 끝에 마침내 대장정의 마침표를 찍는 순간이었다. 온종일 시들한 수풀에 파묻혀 몸보다 마음이 더 힘들었으나 저마다 해냈다는 성취감만은 선뜻 양보하고 싶지 않은 눈빛들이다. 이로써 초보 산행자의 등력(登歷) 하나가 추보(趨步)로 쌓인 셈이다. 비록 소동파가 누린 우화등선(羽化登仙)의 경지에는 못 미쳤을망정 내 딴엔 적벽의 언저리까지는 오른 기분이다. 숙소로 돌아온 나는 문득 오래 전 가르쳤던 면암의 글제를 떠올렸다. 이르기를 「유한라산기(遊漢拏山記)」, 그렇다면 나의 ‘한라산행록’을 일컬어 감히 “등한라산기(登漢拏山記)”라고 해두렷다. 의분을 품은 구한말 선비야 애최 준마로 올랐으되, 고삐 대신 교편을 쥔 나는 어설프나마 탐라의 호연지기(浩然之氣)를 맛보았으니 그로 족하리라. 철모르는 하룻강아지의 치기(稚氣). 결단코 만만한 뫼가 아니었음에도 솔직히 등고자비(登高自卑)의 끈을 풀고 덤벼든 게 사실이다. 자고이래 인자(仁者)는 요산(樂山)이요, 덕자(德者)는 애산(愛山)이며, 용자(勇者)는 호산(好山)이라고 하였거늘, 혹여 나란 사람은 급한 성정으로 스스로를 다그치지는 않았는지 부끄럽다. 뒤돌아보매 거대한 대자연 앞에 선 인간이야말로 뛰어봐야 벼룩인 것을! <홈페이지 http://johs.wo.to/> ※ 다음호(307호)부터 '베트남 기행'이 7회에 걸쳐 연재되며, '1회, 호치민의 첫인상'이 이어집니다. 시민,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 교육/문화/웰빙
    2014-11-12
  • 2014 제2회 평택시 노사민정 공동선언식
    노사상생의 선진노사문화 정착과 일자리 제공 약속 평택시에서는 11월 10일(월) 오전 10시 30분 평택시청 종합상황실에서 2014년 제2회 평택시 노사민정협의회(위원장: 공재광 평택시장) 회의를 개최했다. 협의회 회의는 신규위원 위촉장 수여와 금년도 노사민정협력활성화사업 추진 현황과 그리고 내년도 노사민정협력활성화사업 설명회를 가졌다. 아울러 한경대 류호상 교수의 노사안정 사례연구 발표에 이어 평택시 노사민정 공동선언식을 개최했다. 공동선언문은 ▶근로자는 자기 혁신과 역량개발을 통하여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노사상생의 선진노사문화를 정착 ▶사용자는 공정한 고용질서 확립과 질 좋은 일자리를 더 많이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 ▶시민·사회단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시민의 공감대 형성과 자발적 시민운동으로 확산 ▶평택시와 고용노동부 평택지청은 노사민정협력 활성화 방안을 위해 적극적인과 협조를 한다는 내용이다. 평택시 노사민정협의회는 2013년 2월 12일 구성되었고 위원은 15명으로 노동계 대표 2명, 사용자 대표 4명, 민간인 대표 6명, 정부 대표 3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날, 공재광 평택시장은 "우리시는 우리나라 최대규모의 15조 6천억원을 투자하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의 2015년도 상반기 착공과 더불어 LG 전자, 황해경제자유구역, KTX역사 착공 등 주요사업을 착실히 추진하여 일자리 창출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하고, 위원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이 자리에는 공재광 평택시장, 김대식 한국노총평택지역지부장, 이근찬 평택상공회의소회장, 송병춘 고용노동부평택지청장을 비롯해 노사민정 대표자와 실무위원 23명이 참석했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평택시의회, 제9회 청소년의회 마쳐
    관내 16개교 520여명 학생 참여해 모의 의회 열어 평택시의회(의장 김인식)는 미래의 주역인 관내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제9회 평택시 청소년의회』를 운영했다. 이번 청소년의회는 지난 7월 14일 내기초등학교를 시작으로 11월 7일 송북초등학교까지 총 16개교 52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청소년의회는 교실 밖 사회문제에 대하여 청소년 스스로 해결방안과 대안을 제시하고 토론함으로써 풀뿌리 민주주의 근간인 지방자치의 원리를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청소년의회에서는 송북초교 학생들의 “내친구지킴이(학교폭력예방 지킴이) 어플 제작에 관한 조례안” 등 평소 느꼈던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주제로 학교별 1건씩 총 16건의 안건을 직접 채택하고 모의 의회를 열어 직접 진행해 봄으로써 지방의회의 기능과 역할을 경험하였으며, 민주적인 토론방식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의한 민주시민으로서의 의식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청소년의회를 마친 학생들은 “청소년의회의 경험을 통해 의회가 어떤 곳인지 알게 되었고,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을 배울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였다” 고 소감을 말했다. 평택시의회 김인식 의장은 “이번 청소년의회를 통해 미래의 주역인 학생들이 자신의 의사를 당당하게 표현함은 물론,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는 자세로 직접 민주주의 가치를 체험하고 학생들 내면속의 성숙함까지 채워가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다”며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지역사회와 국가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교육/문화/웰빙
    2014-11-12
  • 평택 로컬푸드 생산자교육 수료식 가져
    평택로컬푸드 직매장 납품하기 위한 생산자 41명 수료증 수여 평택시는 관내에서 생산되는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 및 가공식품을 “평택로컬푸드 직매장”에 납품하기 위한 생산자 교육을 금년 4월부터 실시하고 교육을 수료한 41명에 대하여는 11월 7일 수료증을 수여했다. 공재광 평택시장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지역에서 생산되는 믿을 수 있는 농산물 및 가공식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우리 시민들이 소비하자는 '평택로컬푸드' 실천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수료증을 받게 된 생산자들을 축하드린다"며 "로컬푸드 활성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평택시는 현재 1개소인 로컬푸드 직매장을 내년에 이충동 분수 공원에 추가로 설치하고, 내년부터 2017년까지 오성면 생태공원 조성부지에 81억원을 투자해 직매장, 가공장, 학교급식센터, 레스토랑 등을 설치하는 “로컬푸드 종합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전국 최고의 로컬푸드를 만들어 농업인들의 안정적인 농업소득 증대 및 바른 먹거리 소비를 통한 시민들의 건강보호에 기여함은 물론, 쌀 개방에 따른 경쟁력 확보, 로컬푸드와 같은 새로운 사업 발굴 등 농업에 대한 많은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안연영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평택의 문화재] 평택원정리봉수대 (平澤遠井里熢燧臺)
    - 문화재명: 평택원정리봉수대 (平澤遠井里熢燧臺)- 시대: 조선시대- 지정번호: 평택시향토유적 제1호- 지정일자: 1986년 3월 5일- 소재지: 포승면 원정리 109-54- 소유자: 평택시- 관리자: 평택시- 시대: 고려~조선 ■ 평택시의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 평택 원정리 봉수대는 포승면 원정리의 해발 83m인 나지막한 구릉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5거 연변봉수 직봉노선의 봉수로서 시대를 달리하여 ‘괴태길곶봉수’로 불리웠었고, 현재는 행정구역명에 따라 ‘원정리봉수대’라고 지칭한다. 봉수제의 기원은 고대 중국에서 유래하며 본래의 설치목적은 군사적 목적인 통신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생겨난 제도이다. 한국에서는 고대의 삼국시대에도 당의 영향을 받아 원시적인 형태로 활용되어졌다. 그러나 관련기록은 극히 단편적이고 그 유지(遺址)가 멸실되어 오늘날 당시 봉수제의 전모를 파악하기가 극히 어려운 상황이다. 고려시대의 봉수제는 어떠한 형태로든 삼국시대부터 존재하였던 봉수를 활용하고 유지하였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역시나 극히 단편적인 기록만이 전할 뿐이다. 한편, 조선시대에 들어 봉수제는 이전시기와는 달리 좀 더 체계적으로 정비되었다. 당시 변경뿐만 아니라, 해안을 통해 침입하려는 외적의 긴급한 상황을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빛을 통해 최종 중앙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였던 우리가 흔히 인식하는 5거제의 봉수제(전국은 경흥·동래·강계·의주·순천의 5개 봉수대 기점으로 하였음)가 비로써 이때에 성립되었다. 전 서울 목멱산(남산)의 제1봉에서 제5봉의 봉수대로 집결되었는데, 제1봉의 봉수대는 함경·강원도에서 오는 봉수를 양주 아차산(서울 강동구) 봉수대로부터, 제2봉 봉수대는 경상도에서 오는 봉수를 광주 천림산 봉수대로부터, 제3봉 봉수대는 평안·황해도에서 오는 봉수를 무악산 동봉의 봉수대로부터, 제4봉 봉수대는 평안·황해도의 해안에서 오는 봉수를 무악산 서봉의 봉수대로부터, 제5봉 봉수대는 전라·충청도에서 오는 봉수를 양천(서울 양천구) 개화산 봉수대로부터 각기 받았다. 이와 같이 전국에서 올라온 봉수의 정보는 목멱산 봉수대의 오원이 병조에 종합보고하면 병조에서는 매일 새벽 승정원에 알려 임금에게 보고하였다. 고종31년(1894) 봉수제도가 현대적 전화통신체제로 바뀌어 폐지되었는데, 현재 남아 있는 봉수대는 지방기념물로 지정하여 각 도·시에서 보호하고 있는데, 원정리 봉수대는 평택시의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 화성시 우정면 화산리 흥천산봉수로 신호 보내 원정리봉수대의 기록을 찾아보자면 조선초기 《세종실록》의 지리지에 남쪽으로 면천 명해산, 북쪽으로 수원 흥천산에 응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기록이 작성된 조선 초기에는 행정구역상 양성현에 속하였으며, 설치시기는 고려시대에 설치되어 조선 전시기에 걸쳐 운영되었던 봉수라고 전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는 양성현의 산천 조에서 괴태길곶이 현 서쪽 100리 지점에 있으며 줄 같은 한 가닥 길이 진위현의 송장, 수원 양간을 지나서 바다에 불쑥 들어 갔는데, 무릇 75리이며 목장이 있다고 하였다. 《경기지》의 〈양성현읍지〉(1842~43) 봉수조에는 괴태길곶봉수가 현의 서쪽 100리 괴태산에 소재하여 남쪽으로 충청도 면천 창택산봉수와 직산 망해산봉수에 응하고 북쪽으로 수원 흥천산봉수에 응한다고 하였다. 끝으로 《증보문헌비고》(1908)에는 제5거노선의 봉수로서 직봉과 간봉이 합쳐지는 지점에 위치하였던 봉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보면 원정리봉수대는 남쪽으로 아산만과 남쪽으로 남양만을 조망하는 가장 앞에 있는 연변봉수로서 조선 초기 남쪽의 면천 명해산봉수에서 보내는 신호를 받아 북쪽으로 화성시 우정면 화산리 흥천산봉수로 보내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중기에는 간봉인 면천 창택산봉수와 직봉인 직산 망해산봉수가 이곳에서 합쳐져 다시 화성 흥천산봉수로 신호를 보내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북쪽으로 흥천산봉수와는 6.75km의 거리에 있다. 봉수대는 정상에서 약 2m높이의 동서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세장방형의 평면형태로 석축으로 된 500평가량의 평지가 있으며 현재 석축은 부분적으로 훼손된 상태이다. 단면형태는 상단지대와 하단지대를 갖춘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 모양이 한자의 철(凸)자 형태를 띠고 있다. 둘레의 길이는 하단대지가 239m, 상단대지가 138m이며, 하단은 토축(土築)으로 상단은 석축(石築)으로 쌓았다. 넓이는 하단이 1,700㎡이며, 상단이 700㎡이다. 내부 시설로는 봉돈으로 추정되는 원형 돌무지 4개소, 건물지 1개소, 출입시설 3개소가 있다. 봉돈 추정 원형 돌무지는 지름이 3.5m, 높이 0.3m의 크기이다. 규모면에서 토축 하단대지 둘레가 239m는 유례가 드문 초대형이다. 봉수대 북쪽 100m아래는 봉화수의 주거지와 샘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으나 잡초가 우거져 있어 그 흔적을 찾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 자료출처: 평택문화원 향토사연구소 정리 김선우 기자 ptlnews@hanmail.net
    • 교육/문화/웰빙
    2014-11-12
  • 곽정기 경찰서장, 학생·교사와 소통 간담회
    학생·교사·경찰,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환경 만든다! 평택경찰서(서장 곽정기)는 지난 5일(수) 오후 4시 30분부터 100여분간 평택경찰서 강당에서 관내 중·고등학교 학생 및 학생인권부장 교사를 초청해 격의 없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였다. 이날 간담회는 학생들의 인권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참여를 통하여 평소 학교폭력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이야기하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서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소통에 참여한 학생은 “다른 학교 학생들과 학교폭력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면서 소외된 친구들에 대해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고, 학교전담경찰관이 학교에 자주 방문해 든든하다”고 말했다. 곽정기 경찰서장은 “이번 소통 간담회를 통해서 학교폭력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이 어떠한지를 잘 알 수 있었고, 학생들이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생활을 해나가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이런 소통의 자리를 마련하여 학생·교사, 경찰이 힘을 모아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튼튼한 네트워크 구축이 이루어 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경찰서는 이날 토론사항과 건의사항을 기초로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활동에 반영하고, 학교전담경찰관이 업무를 이행하는데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종합뉴스
    2014-11-12
  • 최우영 개인전 展
    11월 16일부터 30일까지 대안문화공간 'Route'에서 평택 고덕면에 위치한 대안문화공간 'Route(평택시 고덕면 동고리 159-16)'에서는 최우영 작가의 개인전 <잊혀진 마을>展을 오는 11월 16일부터 3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전국 각지에서 11월 한달간 개최되는 <제1회 한국 다큐멘터리 사진의 달> 전시의 일환으로 다큐멘터리 사진가들과 갤러리가 연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과 소통하는 열린 축제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최우영 작가는 2010년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을 전공·졸업하고 2010년 가나아트스페이스와 부산의 문화매개공간 쌈에서 첫 개인전 ‘잊혀진 이웃’을 가지고 현재도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과 환경에 관하여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최 작가는 현재 평택 고덕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덕신도시 개발사업을 통하여 자본과 물질의 가치가 조용한 농촌마을에 어떻게 작용하여 평생을 함께해오던 공동체가 어떻게 와해되고 사라지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이번 사진작업을 진행하였다. 자본과 개발이라는 담론이 과연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어떠한 상처를 남기는지에 대한 시각적 조사를 함께 해나가고 있다. 아울러 마을을 떠나기전의 주민들의 기록사진과 더불어 마을 곳곳에 남겨진 황량한 풍경들의 모습에서 결국 존재와 망각의 문제를 환기시킨다. 평생을 함께 해오던 주민들이 뿔뿔이 흩어져 떠날 수 밖에 없는 상황과 더불어 개발의 그림자 아래 숨겨진 타인들의 고통에 대해 점차 우리 스스로 둔감해져가는 현실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최우영 작가는 "이미 떠나가 버린 주민들의 흔적들을 기록하며 작가는 부재의 기호들을 통하여 개발이라는 담론속에 가려져 있는 인권에 대한 원론적 질문과 자본주의 사회가 만들어 낸 공허한 허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하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문의는 대안문화공간 Route(010-5276-1564, 오전 10시~오후 7시)로 하면 된다. ■ 최우영 작가 프로필 ▶1977 부산 출생 ▶2010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전공 졸업 ▶개인전: 2014 에이트리갤러리(서울) 대안공간 루트(평택) ▶개인전: 2010 가나아트 스페이스(서울) 문화매개공간 쌈(부산) ▶단체전: 2013 사진, 고덕의 삶을 기록하다, 고덕면주민센터(평택) ▶단체전: 2009 Post Photo, 토포하우스(서울) ▶단체전: 2009 아시아프, 구 기무사(서울) ▶단체전: 2008 Post Photo, 토포하우스(서울) ▶단체전: 2005 Puzzling Rainbow, 갤러리보우(울산), ▶단체전: 2005 울산한일현대미술제, 울산문화예술회관(울산)▶단체전: 2003 한일현대미술교류전, 부산문화회관(부산) 서태호 기자 ptlnews@hanmail.net
    • 교육/문화/웰빙
    2014-11-1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