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0(토)
 
이은우(평택시민재단 이사장)
 
칼럼.jpg
 평택경제, 지역공동체에 있어 중요한 한 축인 쌍용자동차 상황이 시민들의 바람과는 다르게 생사의 기로에 섰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5천여 명의 쌍차 노동자들, 관련 협력업체들까지 따지면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가름하기 어렵다.
 
 최근 쌍용자동차가 회계감사를 맡은 삼정회계법인이 2분기 보고서에 대한 감사의견 제출을 거절하면서 11년 만에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고 한다. 삼정회계법인은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4,624억 원 초과하는 등 쌍용차가 계속기업으로서 의문이 제기된다”고 밝혔다.
 
 최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그룹이 추가 투자를 포기한 상황에서 8월말이나 9월말까지 새로운 투자자 유치와 유동성 확보에 모두 실패한다면 2009년에 이어 또다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쌍용차는 2009년 법정관리 당시 2,600여명을 구조조정 했는데, 11년 만에 다시 법정관리에 돌입한다면 회복하기 어려운 상처를 입을 것으로 보여서 지역사회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당시 쌍용차 정리해고 사태는 지역사회에 큰 상흔을 남겼는데 다시 한 번 지역사회에 큰 아픔이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스런 마음이 밀려온다.
 
 쌍용자동차는 내수시장의 탄탄한 충성 고객과 자체 브랜드 파워가 있어서 성장 잠재력은 충분하다. 산업은행의 적극적 역할, 정부와 지방정부(경기도, 평택시)의 지분 투자 등을 통해 쌍용차 정상화와 성장 동력을 만들어 간다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일자리를 지킬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이제는 쌍용차 위기 상황을 몇몇 주체들만 모여 밀실에서 다루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주체가 모여 다양한 방식을 논의하고 이를 공론화해야 한다. 논의와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쌍용차 살려야 한다. 이번만큼은 제대로 살리는 길을 논의하고 찾아야 한다. 특히, 쌍용차 회사와 기업노조는 지금 상황에 대해 현장 노동자와 지역사회에 투명하게 알리고, 공론화해야 한다. 평택시와 정치권도 이해관계를 우선하고, 언론플레이에 치중하기 보다는 대안 모색을 위한 논의를 확장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여러 가지 플랜을 준비하고 대책을 세워야 하는 엄중한 시기임을 평택시나 지역사회는 인식해야 한다.
 
 2009년 쌍용차 사태, 정리해고와 아픔, 상흔. 지역사회의 어떤 누구도 쌍용차의 아픔이 반복되는 것을 원치는 않고 있을 것이다. 다양한 논의와 공론화, 각 주체에 따른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한 까닭이다. 지난 5월, 마지막으로 쌍용차 해고노동자들이 복직을 하며 출근길에서 “좋은 차를 만들겠다”고 외쳤던 약속이 계속 이뤄질 수 있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자치돌이★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 2870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칼럼] 지역공동체에 중요한 쌍용차의 생사기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