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서민호(본보 대표)
 
데스크칼럼.jpg
 지난 26일 오후 3시 20분경 평택국제대교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상판 붕괴사고 소식을 접하면서 47만 평택시민들은 할 말을 잃었다.
 
 국제대교의 15번~19번 교각에 설치된 길이 240m의 상판 4개가 붕괴된 이번 사고에서 다행히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멀게는 성수대교 참사, 가깝게는 용인시 냉수물천교 슬래브 붕괴, 칠산대교 사고 등과 같이 전형적인 후진국형 인재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마음은 편치 못하다.
 
 물론 사고 원인은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의 정확한 조사가 있은 후 논의해야겠지만 필자를 비롯한 평택시민들은 이번 국제대교 상판 붕괴사고를 바라보면서 지난 1994년 제10~11번 교각 사이 상부 트러스가 붕괴해 등교하던 학생, 출근하던 직장인 등 모두 32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성수대교 참사를 떠올렸으며, 완공 후 다리가 붕괴되었다면 많은 평택시민들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갈 수 있었다고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다.
 
 특히 이번 사고에서 상부 구조물을 지탱해야할 교각조차 무너져 내렸다는 사실은 공법의 문제가 아닌 부실시공을 의심하게 하는 대목이다. 이런 이유에서 철저한 조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해 부실시공이 붕괴의 원인일 경우 공사를 시공 중이었던 대림산업에 대해 공공사업 입찰 참가 제한 등의 강력한 행정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며, 평택국제대교 발주에 적용된 대안입찰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없었는지도 자세히 들여다보고 문제가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수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시공사인 대림산업의 96.49%의 높은 투찰률에도 불구하고 붕괴사고가 발생했기 때문에 평택시는 앞으로 모든 건설공사에 대한 철저한 감리와 관리·감독 책임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중앙정부에서는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부실시공이 드러날 경우에는 강력한 처벌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붕괴사고 후 평택시의 안이한 대처도 붕괴사고 못지않게 크게 반성해야 한다. 붕괴 직후 공무원들이 별다른 장비도 없이 평상복 차림으로 상판이 남아 있는 43번 국도를 통제하고, 사고 현장 인근의 시민들을 통제하지도 못했으며, 심지어 사고 현장인 평택호에서 수상스키를 즐기는 시민들조차도 통제하지 못한 안일한 대처는 이해할 수 없으며 비판받아 마땅하다.
 
 앞으로 약 60일간 활동할 예정인 국제대교 건설사고조사위원회는 객관적이고 투명한 조사를 실시해 다시는 이러한 후진국형 인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평택시는 30일 밝힌 대로 국제대교 상판 붕괴로 인해 1일 교통량이 6만대 이상인 국도 43호선 오성IC~신남IC의 부분 통제하고 있기 때문에 국토교통부와 가진 대책회의 결과대로 국도 43호선 상부를 통과하는 교랑상판 및 교각을 전면 철거해 조속한 개통을 해야 할 것이다.
 
 우리 모두는 세월호 사건, 인천 영종대교 105중 충돌사고, 판교 환풍구 붕괴 추락사고, 고양터미널 화재, 장성 요양병원 화재 등 대형 사건과 사고를 겪으면서 국가 구성원 모두가 안전하고 행복한 대한민국을 소망하고 있다. 하지만 평택국제대교 붕괴 사고를 바라보면서 느끼는 점은 아직도 안전하고 행복한 대한민국은 너무도 멀리 있다.
★자치돌이★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 6653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데스크칼럼] ‘평택국제대교 붕괴’ 철저한 조사 필요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