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여름을 바라보는 시기인 5월에 꽃을 피워 한 계절 마무리
 
헛개나무 등 대체 밀원식물 등장해 새롭게 주목 받게 돼
 
 
김만제 소장.jpg
 ▲ 김만제(경기남부생태교육연구소 소장) 
 
 지난 주말 아이들과 함께 찾은 덕동산마을숲은 맑은 하늘을 배경으로 연중 가장 짙은 푸르름을 자랑하고 있었다. 덕동산마을숲은 물론이고 주변 세상을 덮어버릴 듯한 기세의 밤나무꽃 냄새도 그런대로 잦아들었고, 담쟁이덩굴이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있는 숲 바닥 이곳저곳에는 강아지풀 꽃이삭보다는 조금 길며, 하얀 털실을 풀어 놓은 듯한 밤나무 수꽃들이 주어진 소임을 다 마쳤는지 주변 지피식물 위로 하나둘 떨어지고 있었다.
 
 생태달력으로 볼 때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 6월의 시작과 동시에 아까시나무를 이어받은 밤나무가 마치 눈을 뒤집어 쓴 듯 생애 최고의 에너지를 품어내는 달이며, 뒤로 갈수록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땅속을 들락거리며 먹이활동을 하던 맹꽁이가 밤부터 새벽까지 암컷을 향한 세레나데가 절정에 이르는 달이기도 하다.
 
평택의 자연 메인.JPG
▲ 밀원식물의 대명사 아까시나무의 꽃
 
 바닥에 널브러진 밤나무의 수꽃이삭을 밟으며, 밀원식물로서 주어진 역할을 다해가는 밤꽃을 통해 밀원식물의 으뜸 자리에 있는 아까시나무를 다시금 조명해보려고 한다. 한때 아카시아라고도 불렸던 아까시나무는 봄을 마무리하고 여름을 바라보는 시기인 5월에 꽃을 피워 한 계절을 마무리하는 밀원식물이다.
 
 아직도 바라보는 사람의 방향에 따라 호불호가 나뉘는 나무이기는 하지만 오랜 시간을 통해 지역의 자연생태를 둘러보면서 얻은 결론은 19세기 말 도입부터 현재까지 아까시나무가 보여준 모습은 크게 부족치 않았고 나름 자연생태계에서 스스로에게 주어진 역할을 성실하게 감당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다.
 
평택의 자연2.jpg
▲ 생애 최고의 에너지를 품어내는 6월의 밤꽃
 
 여러 개의 작은 원목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접착시킨 아카시아집성목을 보더라도 우아한 무늬와 함께 나무의 부위에 따라 색깔의 옅고 짙음이 대조를 이루고 있으며, 특유의 광택으로 고급 목재의 반열에 올라있지만 아직까지도 이 나무에 대한 평가가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입에서 입을 통해 쓸모없는 나무로 평가절하 되는 정도를 넘어 심한 경우 산주는 물론 지자체까지 나서서 눈에 띠는 데로 자르고 뽑아버리는 등의 골칫덩어리로 취급을 받기까지 한다.
 
평택의 자연3.jpg
▲ 진위천 냇가에서 자라고 있는 아까시나무
 
 주변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나무가 산을 망친다는 나쁜 선입관을 갖고 있다. 빨리 성장하는 편이라 이웃해 자라는 다른 나무들의 성장을 헤치고 때로는 번식력이 좋은 이 나무의 뿌리가 넓게 옆으로 퍼져 조상님을 모신 묘지를 훼손하기도 하며, 본 줄기가 훼손되었을 때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 내는 맹아력이 뛰어나 묘지 위에 올라온 줄기를 제거했다고 해도 오래지 않아 오히려 왕성한 가지로 후손들의 걱정을 끼쳤기에 더욱 싫어하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세월이 흘러도 변함이 없는 것 하나가 있다면 여전히 꽃꿀을 내는 밀원식물로서는 아까시나무가 압도적 우위에 있다는 것이다. 유채꿀과 싸리꿀, 밤꿀, 대추꿀, 메밀꿀 등 오래전부터 생활에서 꿀을 애용해오고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 생산한 꿀 중에서 아까시나무로부터 얻는 꿀만큼 대중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는 꿀은 없었던 것이다. 
 
평택의 자연4.JPG
▲ 아까시나무의 열매와 종자

 그러던 중, 아까시나무에서 얻어지는 꿀 생산에 문제가 생겼다. 아까시나무의 개화가 시작되면 양봉농가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중부지방으로 이동하면서 꿀을 얻었는데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꿀벌 바이러스 등의 원인으로 개화시기의 차가 예전의 절반으로 변하면서 꿀의 수확이 크게 줄었고, 열흘 정도인 아까시나무의 개화기에 두 배 정도 긴 튤립나무와 꿀 생산량이 두 배에 이르는 헛개나무 등 대체 밀원식물의 등장이 새롭게 주목을 받게 된 것이다.
 
 최근 들어 아까시나무를 새롭게 보려는 조짐이 여러 곳에서 눈에 띠고 있다. 산림청은 계속하여 줄고 있는 벌꿀의 생산을 늘리기 위해 전국의 국유림 중에 꿀벌의 접근성과 꿀을 채집하는 용이성 등을 감안한 적정 대상지를 찾아 양봉농가가 필요로 하는 밀원수종인 아까시나무 위주로 조림할 것을 계획 중이다.
 
평택의 자연5.jpg
▲ 독특한 향기를 내는 밤꽃(야간) 
 
 메마르고 황폐한 땅에서도 잘 자라고, 생장속도가 여느 나무에 비해 빠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꽃꿀만 주는 나무를 넘어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넉넉하게 줄여 기후변화를 막아주는 나무가 아까시나무인 것이다.
 
 사람의 간섭으로 황폐해진 숲을 풍요롭게 만든 다음 때가 되면 어렵지 않게 자리를 내주어 오히려 안정적인 생태계를 회복시켜주며, 모든 물질적인 가치를 떠나 친밀감과 편안함을 안기고 달콤함으로 다가서는 아까시나무에 대해 고마워해야 할 부분은 없는지 다시금 뒤돌아보게 된다.
 
 
★자치돌이★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 8829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만제의 평택의 자연] 밀원식물의 대명사 아까시나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